어선과 낚싯배 등 해양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14년 세월호 사건 이후 해양 안전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지만 크고 작은 인명사고가 잊을만하면 일어나고 있다. 벌써 세월호의 아픔을 잊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될 정도다. 특히 지난 2017년 12월 인천 영흥도 앞바다에서 15명의 목숨을 앗아간 ‘선창 1호’ 사고 때 청와대 위기관리센터를 찾아 문재인 대통령까지 관심을 가졌던 낚싯배 안전 대책은 어디로 간 것인지 물어야 할 지경이다.

12일 오전 2시께 포항 구룡포 앞바다에서 어선에 화재가 발생, 선원 6명 중 2명이 목숨을 잃고 1명이 실종됐다. 해경 항공기 8대와 경비함정 17척, 해군과 민간 선박까지 동원해 실종자 수색을 벌였지만 선원 절반이 목숨을 잃었다. 이어 구룡포 어선 사고 다음날인 13일 오전 7시 50분께 영덕 강구 앞 해상에서 어선에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선원 5명은 해경 경비함정과 울진구조대 등의 도움으로 구조돼는 아찔한 사고였다. 겨울철 어선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지난 11일 경남 통영 욕지도 앞 해상에서 선장과 승객 등 14명이 탄 낚싯배 ‘무적호’가 파나마 선적의 3000t 급 화물선과 충돌한 뒤 뒤집혀 3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다. 1년여 전 영흥도 사고와 지난 2015년 9월 제주 추자도에서 18명의 희생자를 낸 ‘돌고래호’ 사고를 연상케 한다.

통영 앞바다에서의 사고는 영흥도 사고와 유사하다. 영흥도 사고 역시 낚싯배와 급유선이 충돌해 발생했고, 악천후 속 무리한 항해·구명조끼 미착용 등 안전의식 결여가 사고를 키웠다. 이번 통영 낚싯배 사고에서도 사망자 3명이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안전불감증이 여전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낚시 소재 텔레비전 예능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낚싯배를 이용한 낚시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2014년 206만 명이던 것이 2017년 414만 명으로 크게 늘었다. 이처럼 낚싯배를 이용한 레저인구가 크게 늘고 있지만 해상 안전의식은 크게 나아진 것이 없는 실정이다. 한국 소비자원의 조사에서 구명부환를 제대로 비치하지 않은 낚싯배가 조사 대상의 90%나 됐다니 그간 사고가 날 때마다 ‘재발방지’니 ‘해상안전’을 외쳐댔지만 헛구호였던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5월 구명조끼 미착용을 7대 안전 무시 관행 개선 대책에 포함 시켰지만 아직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음이 드러났다. 개인의 안전불감증도 문제지만 사고가 있을 때마다 재발방지를 다짐한 정부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물론 개개인이 참담한 세월호 참사를 겪고도 아직 ‘해상안전’의 중요성을 망각하고 있어서 안타깝기 짝이 없다. 해상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예방 시스템 도입 등 대대적인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