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결백을 보물삼아 자연과 더불어 안분지족 푸르른 기백 고스란히

묵계서원
“내 집엔 보물이 없고, 보물이란 오직 청백뿐이다”라는 유훈을 남긴 보백당 김계행 선생. 그는 일생을 대쪽정신으로 청렴결백하게 살다 간 선비였다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는 평생 청렴과 강직을 실천하려고 노력했던 보백당의 유훈을 이어받아 대대로 실천하고 있는 안동김씨 묵계종택과 묵계서원(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9호)이 자리 잡고 있다.

△묵계서원
묵계서원 현판
묵계서원은 보백당 김계행(1431~1517)과 응계 옥고(1382∼1436)를 봉향하는 서원이다.

김계행은 조선 초기 성종 때 대사성을 역임하고, 이조판서 양관대제학에 추증됐으며, 옥고는 세종 때 사헌부 장령(掌令)을 지낸 바 있다. 이 서원은 1687년(숙종 13)에 창건됐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 훼철됐다가 후에 강당과 문루인 읍청루와 진덕문, 동재 건물 등을 복원했다.

경내의 건물로는 외삼문인 진덕문, 누각 형식을 한 읍청루, 동재인 극기재, 강당인 입교당, 내삼문, 사당인 청덕사가 있다. 서원 좌측의 주사는 창건 당시의 유일한 건물로 정면 6칸, 측면 5칸의 ‘ㅁ’자형 이다. 서원 옆에는 후대에 세운 김계행의 신도비와 비각이 있다.

△보백당 김계행과 만휴정.
보백당
보백당 현판
보백당 김계행은 조선 전기 대사간, 대사헌, 홍문관 부제학 등 3사의 요직과 성균관 대사성을 거치면서 당대 거유 문충공 점필재 김종직과 함께 영남 유림을 이끌며 도덕과 학문으로 덕망을 받아온 청백리(淸白吏)의 표상으로 불리고 있다. 후세에 유림에 의해 묵계서원에 제향됐다.

김계행은 안동이라는 지명이 있게 한 고려건국 공신 삼태사(三太師) 중 한 명인 김선평(金宣平·안동 김씨 시조)의 후예다.
보백당 현판
안동은 성리학의 고장, 선비의 고장으로 불린다. 안동지역에 선비문화를 정착시킨 주역은 퇴계 선생이다. 고려 말 안향, 이제현, 우탁이 이 고장 출신으로 성리학의 토대를 만들었다면 거기에 선비정신이라 부를 만한 고고함과 청백을 심어준 이가 한 세대 앞선 보백당 김계행이다.

김계행 종가에는 특별한 현판이 내려오고 있다. 보백당의 유훈을 새긴 현판으로 ‘지신근신 대인충후’와 ‘오가무보물 보물유청백’으로 모두 만휴정에 걸려있다.

만휴정
만휴정은 ‘만년에 휴식을 취할 곳’이라는 뜻으로 묵계의 깊은 산골짜기 송암 폭포 위에 있다. 이곳은 김계행의 만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던 곳이다.

산수화에 나오는 아름다운 풍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만휴정은 선비의 품격을 엿볼 수 있는 조선 인문정신의 정수를 함축하고 있는 정자다. 영화 ‘미인도’, KBS ‘공주의 남자’ 촬영 배경인 이곳은 최근 ‘미스터 션샤인’ 촬영지로 방영된 이후 전국에서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한여름에는 백일홍의 그윽한 정취가 자극한다.

만휴정 계곡
이곳 동쪽 문과 서쪽 문 위에는 김계행의 유훈이 걸려있다. ‘지신근신 대인충후’는 ‘몸가짐을 삼가고, 남을 대할 때 진실하고 온순하라’는 의미로 가훈인 ‘나를 낮추고 타인을 높인다’와도 관련된다. 묵계종가에서는 이 현판을 보면서 선조의 뜻을 가슴 속에 새기고 대대로 실천해 오고 있다.

‘오가무보물 보물유청백’은 ‘우리 집안에는 보물이 없으니, 보물은 오직 청백일 뿐이다’라는 뜻이다. 보백당이라는 당호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임금님 시호 교지’ 맞이하는 연시례.
연시례 재현행사
지난 2015년에 보백당 종가에서 특별한 보물이 발견됐다. 이 종가에서 1868년 ‘연시례(延諡禮)’를 지냈던 기록이 있는 일기를 찾아낸 것이다.

지난 2017년에는 보백당 김계행 선생 서세 500주년을 맞아 ‘연시례 재현행사’가 묵계서원에서 열렸다.
연시례 재현행사
연시례는 임금이 내린 시호, 교지를 지역유림과 관원들이 축하하면서 맞이하는 의식이다. 일기에는 시호를 청하는 내용과 서원·사당 수리, 행사에 대한 논의 등 연시례에 관한 모든 과정이 자세히 기록돼 있다.

지금까지 임금이 내린 시호를 받은 선현들은 많았지만 그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거의 부재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보백당선생 연시시 일기(寶白堂先生 延諡時 日記)’는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보백당 정신 이어가는 후손들.

보백당의 청백정신은 현재까지 이어진다. 족보에 올라 있는 남자들만 따지면 그 후손은 대략 8천여 명에 이른다. 이들 중 뇌물 몇 푼이라도 받은 후손은 거의 없다는 게 후손들의 한결같은 증언이다. 특히 공직에 있는 후손들은 ‘보물유청백’이란 가풍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보백당 문중에서는 선생의 유훈을 받들어 1993년 ‘보백당장학문화재단’을 설립했다. 매년 후손들이 십시일반으로 기금을 모아 청렴공무원 자녀와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고 있다. 경북도 내에 수백 개의 장학재단이 있지만 청백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장학제도로서는 유일하다고 한다.

△문화유산 활용한 어린이 문화공간 ‘꼬마도령의 놀이터’.
꼬마도령의 놀이터 묵계서원
읍청루에서 장구를 치고 있는 어린이들
묵계서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 ‘꼬마도령의 놀이터’가 지난해 12월 3년 연속 문화재청 우수 프로그램으로 선정되면서 명예의 전당에 등재됐다.

이 프로그램은 그동안 닫힌 공간으로만 인식됐던 묵계서원을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문을 활짝 열었다. 이곳에서는 매월 2회씩 진행하는 놀이터 프로그램, 봄과 가을에 열리는 가족체험 프로그램, 쉼이 있는 서원 어린이도서관 프로그램 등이 진행된다.

안동시는 묵계서원을 지역대표 문화유산 활용 모델로 만들고, 이를 계기로 지역 문화유산을 시민들과 함께 공유하는 문화 공간과 교육 공간으로 키워나가고 있다.

오종명 기자
오종명 기자 ojm2171@kyongbuk.com

안동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