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월 29일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국에서 23개 사업(24조1000억 원 규모)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들 23개 사업 가운데 가장 큰 사업이 남부내륙고속화철도사업이다. 총사업비가 4조7000억 원이나 된다. 그런데 이 사업 계획에 지역 편중 논란이 일고 있다. 총 172.38㎞의 구간에는 4곳의 역사(驛舍)가 계획돼 있는데 모두 경남에 들어설 예정이고, 경북 지역에는 한 곳도 없어서 ‘지역 차별’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의 이 사업 추진 목적이 ‘철도교통서비스 낙후지역의 철도서비스 제공’이라면 경북 지역에도 역사를 건립할 수 있게 해서 이용객의 편의는 물론 국가 균형발전에도 도움이 되게 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2017년 기획재정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한 ‘남부내륙선 철도건설 예비타당성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김천에서 진주까지 115.55㎞ 구간에 1개 역사와 신호장, 진주에서 종착역인 거제까지 56.34㎞에 3개의 역을 신설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단순히 거리상으로 봐도 확연히 드러난다. 115.55㎞ 구간에 1개 역사가 계획된 반면 서부 경남 지역인 진주~거제 구간 56.34㎞에 3개의 역사가 몰려 있다. 속도를 낼만 하면 동력을 꺼야 할 거리다.

낙후된 지역의 발전을 위해 절박한 경북 지역민의 요구도 반영돼야 한다. 정부는 내륙철도가 관통하는 경북 성주와 고령의 주장을 들어보고 타당성을 충분히 검토하길 바란다. 성주군은 성주에 예정된 신호장(신호체계) 설치를 일반역사로 확장하면 인근 칠곡, 고령, 대구, 인천도 이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성주군의 경우 사드 피해 등의 민심을 고려해 신호장 설치 예정지역인 가천면(김천에서 25km 지점) 지점에 확대해서 역사를 지으면 되지 않느냐는 주장이다.

고령군은 김천에서 55km 지점에 위치한 고령에 역사가 들어서면 남부내륙고속철도, 대구산업선철도, 달빛내륙철도 등 3개 철도와의 연계 효율성, 달빛내륙철도와 교차하는 환승역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선박 관련 주물공단 150여 개가 몰려 있는 경남조선업의 물류시너지, 중부내륙과 광주대구고속도로 교차, 달성·창녕·성주·합천과의 5~10분 접근성 등도 강점이어서 충분히 역사 건립을 고려할 만 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같은 주장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타당성을 검토하길 바란다. 어느 곳이 더 합리적인지는 따져 봐서 경북 지역에 역사를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조7000억 이라는 천문학적 비용이 드는 사업을 하면서 지역민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이는 국정난맥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이용객 접근 용이성과 이동 동선 최소화, 대중교통 연계성이라는 역 입지 기본 원칙을 준수하고 이 사업의 본래 취지인 국토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경북 지역에 역사를 추가로 설치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