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 등 문화유산 불에 취약한 종이·목조류 대다수
맞춤형 방재 체계·24시간 경비 시스템 구축 등 시급

15일 저녁(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화재가 발생, 연기와 불길이 솟구치고 있다. 1163년 공사를 시작해 1345년 축성식을 연 노트르담 대성당은 나폴레옹의 대관식과 프랑수아 미테랑 전 대통령의 장례식 등 중세부터 근대 현대까지 프랑스 역사가 숨 쉬는 장소이다. 연합
프랑스 파리의 상징이자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노트르담 대성당에 화재가 발생해 첨탑과 지붕이 3분의 2 소실돼 문화유산의 보고인 경북지역 문화재 방재에도 경각심을 주고 있다.

특히 경북지역 주요 문화재로 지정된 사찰들은 목재로 지어져 화재가 발생하면 순식간에 소실되는 위험이 있어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신라문화의 보고인 경주에는 불국사를 비롯한 국내 주요유적들이 즐비하다.

황룡사 구층탑이 전란에 방화로 소실돼 불이 문화재를 순식간에 사라지게 한다는 사실을 역사적으로 증명해 주고 있다.

안동과 영주 등 경북지역 주요 도시에는 전통사찰들이 문화재로 등록돼 있다.

안동에는 봉정사 극락전(국보 15호)과 봉정사 화엄강당 (보물 448호) 봉정사 고금당(보물 449호), 신세동 7층 전탑 (국보 16호), 징비록(국보 제132호) 등 34개가 있다.

포항시에는 냉수리 신라비(국보 제264호)와 중성리 신라비(국보 제318호) 등 국보 2점을 비롯한 국가지정문화재 18점과 도지정문화재 53점, 등록문화재 2점을 보유하고 있다. 포항시는 보경사와 오어사, 죽림사, 법광사 등 지역의 대표적 사찰 4개소에 지난해까지 전통사찰 방재시스템을 구축했다.

올해부터는 일출선원과 임허사 등 2개 사찰에 방재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방재시스템에는 전기 화재 사전 예측 시스템과 통합 관제시스템 구축사업을 벌이고 있다.

문제는 전통사찰이 화재에 취약한 목재로 지어져 초기 진화가 되지 않으면 순식간에 전부 불에 타버린다는 것이다.

화재예방 시스템도 최초 발생 화재를 즉시 진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목재 건물 훼손과 붕괴 위험에 물로 진화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번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도 붕괴 우려 때문에 헬기를 이용한 공중 살수를 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 사찰이 대부분 산에 있어 산불이 옮겨붙는 경우가 많아 사찰 주변에 방화벽 설치도 시급하다.

전북도는 중요 목조 문화재의 화재 등을 막고 초기대응을 위해 안전경비원을 투입, 24시간 경비체계를 갖췄다. 경북도도 목조 문화재 화재 초기 대응을 위해 24시간 경비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번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는 지난 2008년 2월 10일 밤에 발생한 국보 1호 숭례문 화재를 떠올리게 한다. 국민은 서울 한복판에서 영욕의 역사를 지켜본 대한민국의 상징 숭례문이 순식간에 거대한 화염에 휩싸이는 것을 속수무책으로 안타깝게 바라보며 탄식했다.

숭례문은 5년 3개월간 전통 방식에 가깝게 진행한 복구공사를 거쳐 2013년 5월 새로운 모습을 선보였다.

이보다 앞서 2005년에는 강원도 양양군에서 시작된 산불이 식목일인 4월 5일 우리나라 관음보살 신앙의 본향인 낙산사에 옮겨붙어 대웅전, 보타전, 원통보전, 요사채, 홍예문 등이 잿더미가 됐고, 보물 제497호 ‘낙산사 동종’도 소실됐다.

이처럼 목조건물로 구성된 전통사찰들이 화재에 취약해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가 발생하자 문화재청이 긴급점검에 나섰다.

문화재청은 16일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에 깊은 유감을 표하고 화재에 취약한 국내 문화재 안전상황을 긴급 점검한다고 밝혔다.

노트르담 대성당은 지난 15일(현지시각) 공사를 위해 첨탑 주변에 촘촘하게 설치한 가설물인 비계와 성당 내부 목재를 중심으로 불이 나 지붕이 무너졌다.

문화재청은 직접 관리하는 고궁과 종묘, 조선왕릉, 현충사에서 소방시설 점검과 현장 관리를 진행한다. 아울러 국가지정문화재 중 화재에 약한 목조 건축물 등 469건이 있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방재시설 가동 여부 확인과 안전경비원을 통한 현장 점검을 요청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원인과 진화 상황을 주시하고, 강원도 동해안 산불 이후 가동 중인 문화재 안전상황실 운영을 강화하겠다”며 “문화재 방재를 위해 지자체, 돌봄 단체, 안전경비원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