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이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로 당선되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운 핵심참모는 누굴까.

캠프 안팎에서는 박희태 공동선대위원장, 이상득 국회 부의장, 이재오 최고위원, 정두언 의원 등 이른바 `선거캠프 4인방'이 '이명박 후보 만들기'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데 이견을 달지 않는다.

이들이 없었다면 범여권과 박근혜 전 대표측의 파상 검증공세를 이 전 시장이 정면 돌파할 수 있었겠느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이 최고위원은 사실상 `캠프 좌장'으로서 범여권과 박 전 대표 측의 강공을 앞장서 막아냈고 정 의원은 최측근 답게 당원권이 정지되는 아픔을 감수하면서 `박근혜 저격수'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5선의 관록을 자랑하는 이 부의장과 박 위원장은 `캠프의 어른'으로서 내부 결속을 이끈 것은 물론 막후에서 당 지도부나 박 전 대표 캠프와의 가교 역할을 해냈다.

이밖에 4인방에는 들어가지 못했지만 이 전 시장의 `입'을 대변해 고비마다 촌철살인의 논평과 기획안을 쏟아낸 박형준 대변인도 주요 공신으로 꼽히고 있다.

◇이재오 최고위원 = 캠프가 공식 출범하기 전부터 후보 확정 순간까지 이 전 시장의 `오른팔'이자 사실상의 캠프 좌장 역할을 수행하며 오직 이 전 시장의 당선을 위해 밤낮도 잊은 채 `올인'했다.

경선 사흘 전부터는 캠프에 갖다놓은 야전침대에서 숙식을 해결하면서 "박 전 대표 측의 막판 음해를 하늘이 두 쪽 나도 막아야 한다"며 독려했을 정도.

충성도, 기여도, 성실성, 캠프내 비중 등을 종합해볼 때 `4인방' 중에서도 최대 공신이라는 데 토를 달기 어렵다는 게 캠프내의 분위기다.

특히 박 전 대표 캠프와의 당내 세확산 대결 및 경선룰 확정 과정 등에서 `당 서열 넘버2' 최고위원의 영향력을 십분 발휘해 이 전 시장이 최대한 유리한 결과를 얻도록 노력한 공로도 인정받고 있다.

물론 이런 행보 때문에 공정성 논란에 휩싸이고 경쟁후보 측으로부터 당직사퇴 요구를 받기도 했지만 이 전 시장측 입장에선 `최고위원 이재오'의 존재가 고마울 따름이었다.

그의 결사적인 경선 캠페인에는 박 전 대표에 대한 '복수전' 성격도 숨어있다. `이-박 대리전' 양상으로 전개됐던 지난해 7.11 전당대회 대표경선에서 그는 다 이겨놓은 선거를 박 전 대표 측의 막판 '색깔론 공세' 탓에 강재섭 대표에게 역전을 허용했다고 보고 있다. 그로선 이번에 `구원'을 푼 셈이다.

◇정두언 의원 = 이 전 시장의 서울시장 재직 때부터 `복심'으로 불려온 정 의원은 캠프에서 기획본부장이란 예상 밖의 `초라한' 직함을 받았으나 사실상 `종합상황실장'의 역할을 했다는 게 캠프 안팎의 평가다.

지난 5월 캠프 본부를 견지동에서 여의도로 옮긴 이후 그는 오전 회의에 참석하는 것 외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채 전국을 발로 뛰며 숨겨진 `야전사령관' 역할을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정 의원은 박 전 대표 진영의 끈질긴 네거티브 공세에 맞서는 `대항마' 역할을 톡톡히 해내며 승리의 주역 중 하나로 떠올랐다.

그는 지난 6월 박측 `저격수'인 곽성문, 이혜훈 의원을 겨냥해 "다음 선거에서 출마가 불가능한 상황이 될 정도로 비방이 너무 심하다"고 일갈, 당 윤리위원회로부터 6개월 당원권 정지란 중징계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징계를 받은 뒤에도 그는 박 전 대표와 고 최태민 목사와의 관계를 집요하게 파고드는 등 양 캠프간의 살벌한 기싸움에서 결코 밀리지 않는 `막강 전투력'을 과시했다.

캠프 내에선 정 의원을 놓고 상대측 김무성 조직총괄본부장, 최경환 종합상황실장, 유승민 정책메시지단장을 모두 합쳐놓은 듯한 역할을 했다며 "역시 정두언"이란 평가를 아끼지 않는 분위기다.

◇이상득 국회 부의장 = 겉으로 드러난 역할을 맡지 않았지만 대권 도전에 나선 동생을 물심 양면으로 지원하면서 `후견인' 역할을 완벽하게 해냈다고 캠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특유의 인품과 친화력을 바탕으로 3선 이상 중진 의원 및 원로, 진로를 결정하지 못했던 원외 당협위원장들을 캠프로 끌어들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아울러 강재섭 대표 사퇴 여부 논란, 경선 룰 파동 등 주요 국면에서 캠프내 소장 강경파를 다독여 자칫 캠프내 기류가 극단적으로 흐르는 것을 막고 박 전 대표 캠프 및 당 지도부와의 `막후 협상창구' 역할도 성공적으로 수행해 이 전 시장의 `대승적 이미지'를 부각시켰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캠프 핵심 관계자는 "경선 기간 4,5차례의 고비가 있었는데 이 부의장이 직접 나서준 덕분에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었다"고 귀띔했다.

이 부의장은 또 이 전 시장이 직접 나서기 어렵거나 챙길 여유가 없는 일들을 뒤에서 처리했다. 특히 이 전 시장이 기독교 신자여서 취약한 분야로 지적돼온 불교계를 끌어들이기 위해 전국 주요 사찰을 찾아다니며 이 전 시장 지지를 호소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박희태 공동 선대위원장 = `명대변인' 출신으로 인덕과 정치판을 읽는 예리한 눈을 동시에 갖췄다는 평을 듣는 박 위원장은 캠프의 명실상부한 `사령관'으로서 역량을 유감없이 발휘했다는 후문이다.

수호지의 `양산박'처럼 각지에서 모여든 재사들로 이뤄진 외인부대 성격의 캠프인 만큼 개성 강한 구성원들이 언제라도 갈등과 알력을 표면화할 가능성이 있었지만 탁월한 조정력으로 조직을 매끄럽게 이끌었다는 것.

대기업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이 전 시장의 리더십이 능력과 자율을 중시하는 `방목 스타일'이기 때문에 박 위원장의 `부드러운 카리스마'가 없었다면 자칫 캠프내 이견이 분출되면서 곤란을 겪을 수도 있었다는 게 캠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검찰 출신인 그는 특히 BBK 주가조작 논란 등과 관련해 이 전 시장 처남 김재정씨가 박 전 대표 캠프 인사들을 검찰에 고소한 이후 캠프 내부에서 고소 취소 여부를 놓고 수차례 의견 충돌이 일어나자 결국 강경파들을 설득해 고소 취소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캠프 관계자는 "박 위원장의 관록이 묻어나는 `허허실실' 전략에 박 전 대표 측의 예봉도 맥을 못 췄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