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리서당 수상한 책벌레들

벼리서당 수상한 책벌레들

대한민국 초등학교 아이들이 독서록 쓰기 경쟁에 빠져 있다. 누가 제대로 읽고 실천하느냐가 아니라, 누가 더 많이 읽고 더 많이 쓰느냐에 승패가 달려 있다.

아이들은 오직 독서우수상을 받기 위해 1년에 70권에서 많게는 300권까지 책을 읽고 기계처럼 독서록을 쓰며 친구들과 경쟁한다. 그런데 "아이들은 왜 경쟁하듯 책을 읽는가?"

책을 읽으면 '대가'가 따라오기 때문이다. 독서우수상과 친구들의 주목을 받으며 부모님과 선생님에게 칭찬을 듣는다.

하지만 이렇게 남을 의식하며 책을 읽으면 그 책이 나에게 주는 좋은 메시지는 잃어버리고 만다.

또 경쟁하듯 읽으면 스트레스가 되고 억압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

초등 저학년 때 1년에 100권씩 읽던 아이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을 멀리하는 것은 이 같은 독서 습관에 시작된 것이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6월의 '읽을 만한 책'으로 선정된 '벼리 서당 수상한 책벌레들'은 상을 받기 위해 책을 읽고 독서록을 쓰는 아이들에게 제대로 읽고 잘 쓰는 법, 배운 것을 실천하는 법에 대해 가르쳐 준다.

조선 후기 한 서당에서 벌어지는 독서왕 대회를 중심으로 양반 자제 엄도령, 상인 자제 나한길, 농부의 여식 우강의가 펼치는 독서록 쓰기 경쟁이 펼쳐진다.

이 독서왕 대회를 통해 "책을 왜 읽는가?" "독서록은 왜 쓰는가?" 이 두 가지에 대해 질문한다. 가짜 책 읽기와 진짜 책 읽기를 하고 있는 벼리 서당 학동들과 정약용의 독서법을 통해 '제대로 읽고 실천하라', '읽고 기록을 남겨라'라는 다산 정약용의 가르침을 깨달을 수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