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역사인식 없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 교육 현장에서 역사 외곡현상이 심각한 지경이다. 설문조사의 문구가 어떻든 간에 한국전쟁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전쟁이 북침(北侵)이라고 응담한 고등학생이 70%나 됐다고 한다. 이러한 때에 한국전쟁 아카이브(자료 보관소)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안은 늦은 감이 있지만 환영할 일이다.

이병석(포항·북) 국회부의장이 26일 당 정조위가 국방부·교육부와 당정협의를 통해 '한국전쟁 아카이브'를 구축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이 부의장은 이날 최고중진회의에 참석, "24일 국정원이 '2007년 10·4 정상회담 회의록'을 공개하면서 노무현 대통령의 'NLL 관련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다"면서 "남한 내 갈등은 증폭되고 있지만, 기록이 공개되면서 국민에게 진실이 알려지고 있다"고 기록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야권 인사들의 NLL관련 발언들이 거짓이라는 것이 이들 자료들로 드러나고 있다.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63년이 지났지만 아직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보관하는 것은 물론, 연구할 보관소가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은 심히 부끄러운 일이다. 한국전쟁은 3년간 계속된 전쟁으로 무려 520만명 이상이 목숨을 잃거나 실종 또는 부상했다. 전쟁이 끝나고 6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북한의 도발과 도발 위협 속에 살고 있다.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 위협 속에 있으면서도 우리 사회의 안보의식과 안보교육은 너무나 부실하다. 최근 안전행정부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성인의 36%, 청소년의 53%가 6·25 전쟁 발발 연도조차 모르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부의장의 지적처럼 6·25전쟁에 관한 빈약한 정보가 낳은 결과다.

이 부의장은 "우리는 그동안 한국전쟁의 당사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쟁기록을 생산하고 보존하고 제공하는 모든 면에서 소홀히 했다"고 강조했다. 국사편찬위원회나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가 한국전쟁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지만, 국사편찬위원회는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역사의 긴 과정에서 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군사편찬연구소는 주로 전쟁사 입장에서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어 두 곳 모두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한국전쟁만을 특화한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 부의장은 한국전쟁 아카이브 구축은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이며 통일한국을 이끌어 갈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 했다. 이 부의장의 제안데로 당 정조위가 국방부·교육부와의 당정협의를 통해 적극적이고 세밀하게 '한국전쟁 아카이브' 구축작업을 서둘러야 한다.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정부산하 기관의 설립이나 대학 연구소 지원도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