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여자가 있다. 침이 말라가는 여자(시어머니)와 홈쇼핑 콜센터에서 일회용품처럼 쓰이다 버려진 여자(며느리).

그녀들의 동거는 5년 전, 홈쇼핑 콜센터 전화상담원으로 일하는 며느리를 대신해 아이를 돌보기 위해 시어머니가 며느리의 집으로 들어오면서부터다.

울산 출신으로 2013년 '현대문학상' 수상작가 김숨의 여섯 번째 장편소설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은 진화하지도 멸종하지도 못한 채 화석인류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여인들의 이야기다.

이 작품에서 김숨은 유령처럼 살아갔던 대한민국의 수많은 어머니들을 복원해낸다. 그 '어머니'는 우리가 그간 '훼손될 수 없는 영역'으로 규정했던 것들이 얼마나 심각하게 경제적 가치에 침윤되어 존재의 가치를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는지를 통해 오늘날 현실과 대면하게 한다.

일반적 시선에 의하면 두 여자는 며느리와 시어머니의 관계로 맺어져 있다. 하지만 그런 속성을 지워버린 원인은 돈이다.

전화상담원으로 일하면서 따뜻한 인간성을 상실하고 기업이 요청하는 감정만을 강요받던 며느리에게 남은 것이라고는 우울과 수치심, 열등감, 타인을 향한 적대적인 감정뿐이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은 그녀에게 잉여적인 존재로 전락한 시어머니에 대한 분노와 짜증으로 표출된다.

며느리는 침이 고갈되는 구강건조증으로 고생하는 시어머니를 향해 자주 '침' 같다고 말한다. 며느리에게 침은 하등 중요할 것 없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보잘것없고 하찮은 것의 다른 이름이다. ('뱉어버리는 게' 바로 침이다.)

이런 며느리의 모욕에 대해 시어머니가 대응하는 존재방식은 화석이 되어 자신을 보호하는 것.

적을 만났을 때 카멜레온의 일시정지처럼 화석이 되어 자신을 보호하는 시어머니, 언제든지 교체 가능한 일회용품처럼 쓰이고 버려지는 저임금의 하위 서비스직 종사자 며느리, 자신 이외에는 그 누구에게도 그 무엇에도 관심을 두지 않는 아들이자 남편, 그들의 가족 해체의 과정을 섬뜩할 만큼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김숨은 인간의 감정이 어떻게 화폐가치로 환원되는가가 아니라 감정의 상품화가 개별 인간을 어떻게 파괴하고 그 사람이 맺는 사회적 관계들을 어떻게 왜곡하는가를 짚어낸다. 화석이 되어가는 '오늘' 우리시대의 슬픈 초상을 그리고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