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고질이 도졌다. 정권 교체기 때마다 반복되는 포스코의 회장 낙하산 인사 얘기다. 정준양 회장이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때 국빈만찬 초청자 명단에 빠졌고, 10대그룹 총수 청와대 오찬에도 초청 받지 못한데 이어 박 대통령 베트남 방문 경제사절단 명단에도 빠졌다. 항간에는 포스코 새 회장에 아무개씨가 이미 낙점이 됐다더라는 등 하마평까지 돌고 있다. 사실이 아닌 정 회장 사의설까지 돌았다. 또 최근 포스코 특별세무조사와 관련해서도 말들이 많다. 정기 세무조사는 5년에 한 차례 정도인데 2년 반만에 실시하는 것이어서 특별세무조사에 '특별한 뜻'이 담긴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오비이락 세무조사가 아니라 정 회장 압박용이라는 것이다.

포스코는 지난 2000년 민영화 됐다. 더군다나 정부 지분이 전혀 없는 순수 민간기업이다. 그런데도 정권 교체기 마다 회장직과 관련한 여러 추측이 난무했다. 또한 이런 저런 설들이 사실로 드러나기도 했다. 지난 2009년 1월에 있었던 회장 선임 과정에도 적잖은 잡음이 있었다. 당시 윤석만 전 포스코 사장이 유력한 회장 후보로 거론됐다. 그러나 당시 박영준 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차장은 2008년 말부터 2009년 1월까지 고 박태준 포스코명예회장, 이구택 전 포스코 회장, 윤석만 전 포스코 사장, 정준양 당시 포스코건설 사장 등 포스코 핵심 관계자들과 만났다. 이들은 모두 포스코 회장 인사의 직간접적인 이해당사자였다. 박 전 차장은 당시 "자연인 신분으로 만났다"고 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세였던 그를 '자연인'으로 보다는 '정권의 대리인'으로 봤다. 결국 유력하게 거론되던 윤석만 사장 대신 친 MB맨으로 분류되던 정준양 현 회장이 선임됐다.

정권이 바뀌자 또 국세청이 서울 포스코센터와 포항 본사, 광양제철소를 동시다발로 들수셔대고 있다. 정 회장의 사퇴를 압박하기 위한 수순이란 관측이다. 정 회장은 지난해 3월 연임에 성공해 임기를 1년6개월가량 남겨두고 있다. 지분 0%의 정부가 민간기업이 된지 오래인 포스코에 자기 사람을 심는 것은 분명 잘못된 관행이다. 정부는 포스코 흔들기를 이제 중단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