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다. 또한 10여 년 내로 대학 진학 학령인구가 지금보다 30% 정도 감소할 것이란 연구 분석이어서 해가 갈수록 더욱 심각해 질 것이다. 벌써부터 지역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일부 대학에서 학생 유치를 위해 교수들이 교비를 전용해 고교 진학담당 교사들을 접대하다 구속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대학의 위기는 인구가 점차 줄어듦에 따라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것이 큰 원인이다. 또 이에 못지않게 대학 졸업 후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대학생이 크게 늘면서 학벌 위주의 대학 진학이 외면받는 분위기도 한몫하고 있다. 이를 잘 반영하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대구·경북지역 4년제 대학의 중도포기 학생 비율이 5.7%로 100명중 6명 꼴로 학교를 그만둔 것으러 나타났다. 등록이나 복학을 하지 않거나 자퇴하는 학생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대의 경우는 일부 취업률이 좋은 곳을 제외하면 더욱 심각하다. 대구·경북 전문대학의 중도탈락 학생비율은 10.9%로 전문대학 전체 평균 7.5%를 크게 웃돈다. 안동과학대(34.4%)와 대구미래대(31.5%)는 학생 3명중 1명 꼴로 학교를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의 존립 자체가 어려운 지경이다.

정부는 오는 2018년 대입 정원이 고교 졸업자를 초과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입학정원 축소 등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대학들에는 당면한 현실이 되고 있다. 정부 대학구조조정의 문제는 지방대학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도권 대학에 비해 많은 수의 지방대학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방대학 고사(枯死) 정책'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박성호(창원시 의창구)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전국 대학별 정원감축 현황에 따르면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대학 입학정원은 1.2% 늘었다. 같은 기간 비수도권 대학은 0.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마저도 3.7%와 4.8%가 증가한 대전과 충북 등 수도권 학생들의 비중이 높아 사실상 수도권 대학이나 다름없는 이들 지역을 제외하면 나머지 지방대학은 입학정원이 감소했다고 봐야 한다.

정부의 구조조정 방식은 대학재정지원 제한 대학 선정, 학자금대출 제한 대학 선정, 경영부실대학 지정 등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달 29일 확정 발표한 '2014학년도 정부 재정지원 제한대학' 35개 대학 중 30개가 지방대학이 차지한 사실은 지방대학의 어려움을 나타낸 것이다. 대구·경북 대학도 다수 포함 됐다. 그러나 충실한 지방대학에까지 불리하게 룰을 적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지방대학의 내실을 다질 수 있게 지방대 우선 지원정책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