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인들의 귀농·귀촌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경북도의 귀농가구가 전국 시도중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 됐다. 이들 귀농인들을 통해 피폐한 농촌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통계청이 제출한 국감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귀농가구 수가 사상 최대인 1만1천220가구였다. 귀농가구는 2001년 880가구에 불과했으나 2004년 1천302가구로 늘었으며 2008년 2천218가구, 2009년 4천80가구, 2010년 4천67가구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1년 1만503가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만 가구를 넘어섰다.

시도별로는 상주시 520가구 등 귀농 1번지로 꼽히는 경북도가 2천80가구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전남 1천733가구, 경남 1천434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2011년 224가구에서 2012년 1천27가구로 증가한 반면 강원도는 2011년 2천167가구에서 2012년 972가구로 줄었다.

경북지역 귀농인구가 늘어난 것은 그간 지자체들의 귀농 귀촌 유인책이 실효를 거두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귀농 전국 1위를 기록한 상주시는 시에 귀농·귀촌특별지원팀을 두고 서울과 부산에 사무소를 두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했다. 또 귀농인 가구당 500만원의 농가주택 수리비를 지원하고 정착금 500만원씩을 55가구에 지원했다. 이뿐 아니다. 농업창업과 주택구입을 위한 융자도 매년 14억7천여만원이나 지원하는 등 총력을 기울였다.

경북지역 시군은 상주시를 비롯해 영주시, 문경시 영천시 등이 적극적으로 귀농인을 지원하고 있어서 앞으로 귀농인구가 획기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른바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의 퇴직이 본격화되면서 경북이 이들의 새로운 정착지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시군마다 중구난방식의 갖가지 귀농·귀촌 정책을 펴고 있어서 도와 정부차원의 조정이 필요하다. 보다 치밀한 시책을 갖고 현실적 도움을 주는 방안을 마련해 귀농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유도해야 할 것이다.

농촌인구 감소가 가속화되고 노령화되는 실정에 비춰보면 귀농인의 증가는 더없이 반가운 현상이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이 이어지는 2020년 이후까지 귀농·귀촌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10년간 매년 25만~45만 명의 퇴직자가 발생하고 이 중 65%가량이 귀농·귀촌을 원한다고 분석했다.

경북도와 시군은 청정환경을 토대로 한 농가 특화발전을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귀농·귀촌인들이 농촌에 정착해서 지역의 농민들과 상생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행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귀농·귀촌자들이 지역 농촌의 발전을 위해 충분히 전문성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지역발전의 촉매가 되게 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