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야 통해 하나로 힘을 모아가면 대구·경북 자족성 충분히 살리면서 새로운 지역발전 전략이 될수도 있다

새누리당 대구시장후보경선에 나선 한 후보는 7일 "산업용지난을 극복하고 대구 경제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경북과의 연계는 필수적이다"며 "2012년 기준 39조였던 GRDP(지역내총생산)가 경북과 협력하면 80조원에 육박한다"면서 "행정구역의 경계를 풀고 하나의 경제권으로 상생 발전시켜나갈 구체적인 방안을 찾아 가겠다"고 말했다. 우선 대구 연접 도시인 구미, 경산, 영천 등 3개 시 및 5개 군과 긴밀히 협조하여 산업단지의 지역별 특성화 및 협력체계 구축, 공동 R&D와 시정개척, 기업 및 산업간 네트워크 활성화, 기술 융·복합 신기술 공동개발 등을 추진하겠다는 주장이다.

이 후보의 주장은 새삼스러운 주장은 아니지만 그 방향에서는 제대로 된 파악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경제 통합이 이뤄진다면 시·도의 경쟁력은 함께 커지는 것은 명약관화하다. 대구경북 경제광역권은 지금까지 양 시도 간에 수없이 추진돼왔지만 효과는 없었고, 오히려 이같은 방향을 거스르는 행태를 보여 왔다. 지난 2006년부터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부단히 경제협력을 다짐했지만 양 시도간의 쌓여진 경계의 벽을 역시 허물지는 못했다. 조속한 시일내에 경제협력 통합의 틀을 만들어서 가시적으로 쉬운 것부터 테마별로, 기능별로 접근하도록 해야하는데도 구체적 실행계획이 부재했다. 이것은 시장, 도지사 혼자 힘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시·도민이 함께 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웅변해주고 있다. 대구경북이 경제 통합을 위해서는 우선 기본적인 단계에서부터의 뜻과 힘을 모으는 것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징성과 실현 가능성이 높은 문화와 관광분야부터 먼저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구경북은 지속적 발전을 위하여 행정통합을 추진하자는 지역사회 원로에 이어 경제통합만이라도 하자는 것은 대구경북 전 지역의 공감대를 얻었으며 하기에 따라서는 가능도 했다. 하지만 시청 도청 공무원들의 미온적인 태도로 별다른 진척이 없었다. 대구경북경제통합의 성과는 낙후된 북부지역, 동해안권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양 지역은 도시와 농촌간의 협력과 교류의 활성화란 측면에서도 분명한 이점이 있다. 전통섬유산업, 전통식품 및 생약산업, 실버타운, 기숙형 자율 공립학교 설립 및 영어마을, 국제다문화 공생, 도농교류활성화와 도농교류센터, 내륙운하 복합물류단지, 경북북부권 관광 클러스터 구축 등 분야별로 제대로 협력 통합해 나간다면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다. 앞으로 시·도는 법적·제도적 개선사항을 적극 발굴,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광역지역경제를 살리는데 힘을 모아나가야 한다.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대구 경북뿐 아니라 부산 울산 경남권을 포함한 동남권 5개 시·도간의 경제통합의 필요성까지 주장하고 있는 현실이다. 제반 조건이 불리한 남부권의 동쪽권 경제인 동남권 5개 시·도가 칸막이를 없애고 머리를 맞대 상생할 수 있는 정책아이디어를 많이 생산한다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5개 시·도지사는 동남권이 실질적인 광역경제권으로 형성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국제공항이 필요하지만 그 문제도 제대로 협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권 550만을 포함해 부산경남권 1천300만 시·도민이 경제 분야를 통해 하나로 힘을 모아 나간다면 경상도경제권의 자족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경북 경제 통합이든 동남권 경제공동체 구성이든 선제적이면서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광역경제권 형성을 통해 새로운 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고 지역생활권을 아우르는 새로운 지역발전 전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