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형욱 사회부기자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이 없는 사회는 어떤 곳일까.'

장애인 복지정책 기획물을 계획하고, 기사를 써내려가며 마지막에 든 생각이다.

장애인 복지분야 전문가들이 지적했 듯, 그 동안 사회는 장애인들의 소리에 귀기울이지 않은 채 비장애인들이 주축이 돼 '그냥 따라오면 된다'고만 외쳤다.

분명 장애인 복지정책이 잘 된 사례도 있을 테지만, 적어도 장애인 고용문제는 아니었다.

그 동안 정부 정책 덕에 복지 수준, 고용율 등은 높아지긴 했다. 그러나 억지·강압적 분위기가 아니라면 복지와 고용율은 아래로 곤두박질 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결국 사회는 장애인에 대한 '기준표'를 만들고, 표 안에 들어오지 않는 장애인은 '도와줄테니, 가만히 있으라'라고 암묵적으로 말해왔던 것이다.

장애인 복지 문제점에 대한 명쾌한 해답은 대학교수, 특수학교 교사 등 지식층 전문가들도 제시하기 어려웠다. 그만큼 어려운 문제라는 것을 반영한 셈이다.

하지만 기획물의 마침표를 찍으며 한가지 지향점은 찾은 듯 하다. 전문가들은 이제 장애인들에게 결정권을 넘겨주자고 말한다.

그들이 '할 수 있는, 하고 싶은' 것을 결정을 하고, 지식층들은 옆에서 도와주는 형태로 바뀌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를 위해 '내 자식이 (중증·시각·지체 등)장애를 가졌다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를 찾는 생각도 포함돼야 한다.

이같은 진심과 애정을 담은 장애인 복지 정책이 펼쳐진다면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구분하지 않는 이상적 사회로 도약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