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기관의 청년층 일자리 대책도 단순한 업적 홍보용이나 일회성 아닌 일관성과 연속성 있는 고용정책 돼야

고용노동부 포항지청이 지역을 떠나는 청년인력을 붙잡아 고용률을 높이기 위한 '경북동해안 산업단지 인력수급 미스미치 해소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노동부는 청년 인재 역외 유출이 지역 산업단지 내 인력부족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포항지청관내 청년층 구직자들이 지역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로 양성될 수 있도록 조선·철강 맞춤형 기능인력 양성 등을 통해 전문인력 290명을 양성한다. 청년층 구직자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고용환경이 열악한 사업장에 기숙사, 구내식당, 목욕탕 시설을 개선하고 임신·출산·육아 대상 젊은 여성층과 공부하면서 일이 필요한 청년층 구직자는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포항지역뿐만 아니라 대구·구미 등 경북권 주요 도시들도 예외 없이 청년층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도내 군 지역의 청년층 이탈현상은 더 심각한 수준이다. 통계청이 조사한 지난한해동안 경북의 총전입 총전출 현황을 보면 20대 6천160명, 10대 미만 1천773명, 30대 1천363명 등 20대를 중심으로 한 청년층의 지역 외 유출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로는 순유출 인구가 가장 많은 2천141명이나 빠져나갔다. 모두 20대들이다. 대구시의 경우도 20대를 중심으로 한 청년의 역외 유출현상이 규모면에서 인구가 많은 부산보다도 더 많은 현실이다.

지역청년들의 역외 유출을 막으려면 일자리와 교육이다. 교육분야는 포항공대와 한동대의 경우 전국 지방대학 중에서 비교적 많은 수도권 고등학교 졸업자들을 끌어오고 있어 다행이다. 문제는 청년일자리이다. 청년창업 활성화를 통해 기획재정부가 편성한 2014년 청년창업 관련 예산은 총 1천670억원으로 지난해의 1천100억500만원과 비교해 569억5천만원(51.7%)이 늘어났다. 정부의 핵심 고용정책인 청년창업활성화 대책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중소기업청이 발표한 '2014년 1·4분기 및 3월 신설법인 동향'에 따르면 올 1·4분기 창업 건수(신설법인)가 처음으로 2만개를 넘어섰으나 연령별로 보면 청년, 특히 30세 미만 세대에서는 창업 건수가 921건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5.6%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역외 유출현상은 꼭 심각하게 볼 사안만은 아니다.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 진취적으로 수도권이나 외국으로 나가는 것은 바람직하다. 문제는 다른 지역 청년층이 경북권으로 들어오지 않고 있다는데 있을 것이다. 물론 지역청년층의 역외유출방지를 위해 노동부 지청이 대책을 펴는 것은 적절한 시책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타 지역 청년층을 지역 내로 유입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청년대책이 아쉽다는 것이다. 노동부 지방기관만의 일이 아니다. 지방정부와 지역경제계 등의 공동대응이 필요한 사항이다.

이명박 정부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한 '고졸 채용'장려도 청년일자리를 위해서는 중요하다. 지방정부와 노동부 지방기관에서 계속 추진해야 한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주요 과제로 추진 중인 시간 선택제 일자리정책도 활용하기에 따라서는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시간제 일자리도 계약직이 아니라 정년을 보장하거나 장기계약직으로 근로자의 안정성을 보장해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업무도 단순 사무보조 등에 국한하지 말고 핵심 사무분야로 확대해야 시간제일자리 정책이 성공할 것이다.

노동부 지방기관의 지역청년층 일자리 지원 대책도 단순히 업적 홍보용이나 일회성 정책에 그쳐서는 아니 될 것이다. 고용정책은 말 그대로 백년대계여야 한다. 일자리 정책의 일관성과 연속성이 중요한 이유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