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표·美 워싱턴대 그린버그 박사팀 공동연구

한미 공동연구진이 체내 암세포 제거에 도움을 주는 NK세포의 활동을 촉진할 방법을 찾았다.

NK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로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로도 불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면역치료제연구센터 최인표 박사팀과 미국 워싱턴대 그린버그 박사팀이 NK세포의 활동성을 떨어뜨리는 인자를 발견했다고 28일 밝혔다.

NK세포가 체내에서 제 구실을 하려면 '퍼포린'(perforin)이라는 단백질의 생산·분비가 필수적이다. NK세포는 암세포 등을 공격할 때 퍼포린을 분비해 암세포막에 구멍을 내고 여기에 그랜자임(granzyme) 효소를 넣어서 암세포를 녹인다.

연구팀은 연구 과정에서 마이크로 RNA 'miR-150'이라는 조절인자를 발견하고 이 인자가 NK세포의 퍼포린 단백질 분비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miR-150이 결여된 쥐의 NK세포가 정상 NK세포보다 월등히 많은 퍼포린 단백질을 분비했으며 세포독성도 2배 이상 높았다는 것이다. 반대로 miR-150이 발현된 쥐의 NK세포는 퍼포린 분비량과 세포독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최인표 박사는 "암이나 알레르기와 같은 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려면 NK세포와 같은 면역세포들의 활성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NK세포의 조절을 통한 면역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알레르기·면역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알레르기·임상면역학회지'(JACI) 4월 2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