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잦은 익사사고, 피서객 해파리 피해 불구, 지자체 예산부족 타령, 해경 인력공백 등 영향, 사고 발생땐 속수무책

10일 포항 영일대 해수욕장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김기현(23·용인대)씨와 손성배(23경북대)씨가 해변을 둘러보고 있다. 해양경찰관을 꿈꾸는 이들은 "출근해서 사고없이 퇴근하는 날이 제일 기쁘다"며"시민들이 항상 안전에 신경쓰며 물놀이를 즐겼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종현기자 salut@kyongbuk.co.kr

해마다 사상자가 발생하는 간이해수욕장(자연발생유원지) 안전관리 소홀 문제가 올해도 명확히 다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해경 인력이 세월호 참사 현장에 집중되면서 예년 수준 이상의 안전관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 9일 포항 영일대해수욕장 조기개장 등 휴가철에 맞춰 오는 28일부터 경북 동해안 26개 해수욕장이 차례로 문을 연다.

해수욕장 개장을 앞두고 유관기관 회의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포항시의 경우 지난달 12일과 지난 5일 소방, 보건, 사회단체 등과 관리계획을 짜는 회의를 두차례 진행했다. 울진, 영덕 등 포항해경 관내 지자체도 관련 회의를 앞뒀다.

그러나 앞서 열린 회의를 볼 때 안전관리 방침은 올해도 실망스러운 수준으로 비춰지고 있다. 인명사고가 잦은 간이해수욕장은 논의대상에 소외돼 제대로 된 안전관리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해 간이해수욕장의 안전소홀은 수차례 도마에 올랐었다. 지난해 8월 북구 흥해읍 오도1리 간이해수욕장에서 해파리 쏘임 환자 7명이 속출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7월 북구 청하면 이가리 양지 간이해수욕장에서 50대 남성이 바다에 빠져 숨졌다. 두 사고 현장에는 구조요원, 상비약이 갖춰지지 않아 개선요구 바람이 높았다. 또한 간이해수욕장은 지정해수욕장과 달리 피해보상을 받을 길도 없어 폐쇄 또는 정식해수욕장으로 등록하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하지만 해수욕장의 모든 관리를 책임져야 할 포항시는 올해도 이 문제에 대해 관심 밖인 것으로 보인다.

해경 등의 간이해수욕장 부표, 해상안전 그물망 설치 등 요청에도 예산부족 타령을 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여기다 포항시는 간이해수욕장에 대한 관리를 구청, 본청으로 나눠 구분하고 있어 관리 허점을 야기했다.

이런 가운데 해경 인력 공백도 안전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해경은 지난해 포항, 울진, 영덕 등 9개 지정해수욕장에 인력 75명을 배치했다.

올해는 이보다 더 많은 11개소에 인력을 배치하려 했으나, 세월호 참사 현장 구조 등 지원(인력 50여명)으로 이 계획안은 백지화 될 위기다.

뿐만 아니라 해경은 해상 인명구조·안전관리에 집중, 그 동안 관리주체가 아닌데도 맡았던 부분을 해당 기관으로 넘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따라서 해수욕장의 안전관리에 허점이 없도록 지자체와 기관이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간이해수욕장 안전문제 해결에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포항해경 관계자는 "인력 지원 등에 따른 업무 공백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지자체 등 해수욕장 안전과 관련된 각 기관들도 잘 해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간이해수욕장 문제는 현장에 유급안전관리요원, 위험경고판, 그물망 등을 갖춰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