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당 묘, 젊은 혈기 왕성한 용이 힘차게 움직이는 형국으로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져…후손 중 덕망 갖춘 인재 많이 나와 광주이씨-영천최씨 후손들 오늘날까지 상대방 조상에 참배

양동주 대구한의대 대학원 겸임교수

광주이씨 족보에 보면 그 조상들이 신라 때 칠원(漆原 : 현재의 경남 함안)에서 일종의 부족사회를 이루고 살았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여 내려온 칠원성은 신라의 모든 성이 고려 왕건에게 항복한 뒤에도 마의태자(麻衣太子)만을 王으로 섬길 뿐 왕건에게는 굽힐 수 없다하여 끝까지 항거하였으므로 크게 노한 왕건이 대군을 이끌고 친히 성을 함락시킨 뒤 이씨성을 가진 일족들을 모두 체포하여 회안(淮安 : 현재의 경기도 광주)지방 관헌들에게 노비로 삼도록 하였다.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광주지방 노비들 중에서 이씨성을 가진 사람들이 대대로 재주 있고 덕망 높다고 주위에 알려지면서 이를 동정한 관리들이 그들의 신분을 높여주어 고려말경에 이르러서는 더러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는 사람들도 생기게 되었다. 이들 중에 당(唐)이라는 이가 있어 고을 원님의 아전을 살고 있었는데 그 원님의 딸과 혼인을 맺어 그들 사이에서 대대로 재주 있고 덕망 높은 자손들이 번창하니 한음 이덕형 선생을 비롯하여 광주 이씨의 주류를 이루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분의 후손들이다.

이당 묘 전경.

이당(李唐)이 주인인 원님의 딸과 혼사를 맺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야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고려 말에 광주고을의 한 원님이 낮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서 누런 용 한 마리가 자기 집 뜰에 있는 나무에 걸터 앉아있었다. 꿈을 깬 원님이 이상히 여겨 뜰에 나가 나무 위를 올려보니 자기의 아전인 당(唐)이 나무 가지에 다리를 걸치고 잠을 자고 있었다. 평소 그의 재능을 아까워하고 있던 터라 몇 날 며칠을 고민하다가 원님은 벙어리 딸을 그에게 시집보내기로 결심하였다. 택일을 하고 혼수준비를 하느라고 많은 사람들이 일을 하고 있었는데 마침 채단 끊는 사람이 가위를 잃어버리고 쩔쩔매고 있었다. 이때 벙어리 신부가 갑자기 말문이 터져 "문틀 위에 가위가 있다"고 말을 하니 사람들이 매우 신기하게 여겨 원님에게 알렸고 원님은 용꿈의 신통함을 매우 기이하게 생각하였다. 신랑신부가 혼례를 올리고 살면서 아들 다섯 형제를 두었는데 모두가 어려서부터 주위에 신동으로 소문이 났다. 이 아들 다섯이 다같이 과거에 급제하였고 아전의 자식으로 오형제가 전부 과거에 급제한 사실은 온 나라 사람들에게 소문이 널리 퍼지면서 모두가 부러워하였다.

몸종 연이의 묘.

다섯 아들 중 둘째가 유명한 둔촌(遁村) 이집(李集) 선생으로 고려 말 정몽주 등과 함께 높은 학문으로 이름을 날렸고 그의 집이 있던 고을은 그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 서울의 둔촌동이 되었다. 둔촌동에는 지금까지도 그가 살던 유적지와 그와 관련된 전설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광주이씨(廣州李氏)의 조상 중에서 오늘날 기록이 확실히 남아있는 사람이 한음의 8대조 되는 둔촌(遁村) 이집(李集)선생이므로 대부분의 광주이씨 들은 이당(李唐)을 시조로 하고 둔촌을 광주 이씨의 제1대로 기록하고 있다.

광주이씨 시조 묘는 유명한 일화가 전해져오고 있다. 최원도는 고려 말 사람으로 중 신돈이 득세하여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경상도 영천 땅에 내려가 세상을 등지고 살았다. 같은 시기에 벼슬과 학문으로 서로 우의가 돈독하던 이집(李集) 또한 얼마 후 신돈의 전횡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벼슬을 버리고 둔촌동 집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그에게는 늙은 아버지가 계셨기 때문에 아버지에게까지 화가 미칠까봐 매우 걱정이 되었다. 큰 화가 닥쳐 올 것을 감지한 이집은 어느 날 밤 아버지를 등에 업고 경상도 영천 땅의 친구 최원도를 찾아 나섰다. 몇 달 만에 도착한 최원도의 집에서는 마침 그의 생일날이라 인근 주민들이 모여 잔치가 한참 벌어지고 있었다. 최원도의 집 문간방에 아버지를 내려놓고 피곤한 몸을 쉬고 있는데 친구 최원도가 소식을 듣고 문간방으로 뛰어나왔다. 반가운 마음으로 얼른 최원도의 손을 잡으려는 이집을 향해 뜻밖에도 친구 최원도는 크게 노한 목소리로 소리를 지르는 것이었다.

"망하려면 혼자 망할 것이지 어찌하여 우리 집안까지 망치려 하는가. 친구에게 복을 전해주지는 못할망정 화를 전하려 이곳까지 왔단 말인가?"

사태가 이렇게 되자 이집은 매우 난처해하며 몸을 의탁하러 온 것은 아니니 먹을 것이나 좀 달라고 부탁해 보았으나 최원도의 태도는 더욱 격노하면서 이집 부자를 동네 밖으로 내몰게 하는 것이었다. 더구나 최원도는 이집 부자가 잠시 앉았다 떠난 문간방을 역적이 앉았던 곳이라 하여 여러 사람이 보는데서 불태워 버렸다.

한편 이집은 최원도에게 쫓겨나 정처 없이 떠나면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최원도의 태도가 조금씩 이해되면서 그의 진심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굳게 믿고 한밤중에 다시 최원도의 집 부근으로 동네 사람들이 모르게 가만히 숨어들어 길옆 짚 덤불에 몸을 숨기고 하루 밤을 쉬고 있었다. 최원도 또한 이집이 자기를 이해해 줄 것이라 믿고 동네사람들 모르게 꼭 다시 찾아오리라고 생각하면서 날이 어둡자 혼자서 집 주위를 뒤져보다가 두 친구는 반갑게 만나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이집 선생은 최원도의 집 다락방에서 이후 4년 동안을 보내게 되었는데 오로지 최원도 혼자만 알고 가족에게도 비밀로 하자니 여간 힘이 들지 않았다. 우선 밥을 고봉으로 눌러 담고 반찬의 양을 늘려도 주인 혼자서 다 먹어 치우는 것이 시중드는 몸종에게는 매우 이상하게 느껴졌다. 여러 달을 의아하게 생각하던 몸종이 하도 궁금하여 하루는 주인이 그 음식을 다 먹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려고 문틈으로 엿보다가 깜짝 놀라고 말았다. 처음 보는 사람들 둘과 함께 세 명이 식사를 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몸종은 최원도의 부인에게 고하였고 부인은 남편에게 어찌된 연고인가를 묻게 되었다. 최원도는 부인과 몸종에게 사실을 이야기하고 비밀을 엄수 할 것을 다짐하였고, 만약에 이 사실이 밖으로 새어나가면 두 집 가솔들 모두가 멸문의 화를 당할 것이라고 심각한 표정으로 말하였다. 자기의 실수로 주인집이 멸문을 당한다는 것은 도저히 할 수 없는 짓이라고 느끼게 된 노비는 몇 날을 고민하다가 결국 스스로 자결을 택하게 되었다.

그 몸종의 이름은 '제비'라 하였고 최원도 부부는 아무도 모르게 뒷산에 묻어주었는데, 나중에 이 사연을 알게 된 최원도와 이집의 후손들이 그 몸종의 장사를 후하게 지내주고 묘비에 연아(燕娥)의 묘라고 세웠고 지금도 이집의 아버지 묘 부근에 최원도의 몸종 '제비'의 묘소가 있으며 양쪽집안 조상의 묘제 때 연아의 묘에도 함께 제사를 지내준다고 한다. 몸종이 자결한 후 얼마 안되어 이집의 아버지가 최원도의 다락방에서 돌아가시게 되었는데 이때 최원도는 자기의 수의를 내주어 정성껏 염습을 하고 주위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자기 어머니의 묘 부근에 장사를 지내 주었다.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에 있는 광주이씨 시조 이당(李唐)의 묘가 바로 그것이다. 다락방 생활 4년만에 중 신돈이 맞아죽고 세상이 변하게 되어 나라에서 이집과 최원도를 중용 하려고 여러 번 불렀으나 이들은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각자의 집에서 조용히 여생을 마치었다. 생사를 뛰어넘은 두 사람의 우정은 그 후손들 대에까지 그대로 이어져 왔다.

조선 왕조 선조 때 한음 이덕형 선생이 잠시 경상도 도체찰사를 겸직 한 일이 있었고 이때 조상을 구해준 최씨 가문의 은혜에 감사하면서 위토를 마련해주고 양가의 후손들이 대대로 두 어른의 제사를 함께 모시도록 일렀는데 이 관습이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다. 여기 최원도가 세상이 바뀌어 서울로 올라가게 된 친구 이집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며 지었다는 시 한 수를 소개한다.

"세상을 탄식하는 눈물이 옷깃을 적시고

고향 떠나서 아버지께 드린 효성 지하에까지 미치네.

한양은 멀고 먼 곳, 구름 연기만 자욱한데

나현(이당과 최씨 어머니가 묻힌 고개이름)위에 올라보니 수풀만 우거졌네.

앞뒤로 두개의 봉분을 나란히 세웠으니

그대와 나의 마음 누군들 알겠는가.

원하건대 대대로 지금같이 지내면서

서로의 이해를 떠나 깊은 정 변함없기를..

광주이씨(廣州李氏)와 영천최씨(永川崔氏)의 후손들 간에는 그들의 조상인 이집(李集)과 최원도(崔元道) 사이의 우의를 상고하면서 양가가 같은 날 묘제를 지내며 서로 상대방의 조상 묘에 잔을 올리고 참배하는 아름다운 풍습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다고 한다.(광주이씨 홈피에서)

풍수지리적으로 살펴보면 이곳은 명당 중에 명당으로 전국의 풍수학자들의 학습연구에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용맥의 흐름은 크게는 백두대간에서 분맥하여 나누어 진 낙동정맥이 수백㎞를 진행하다가 낙동정맥의 정점 중에 하나인 구룡산으로 가파르게 기봉하면서 오른쪽으로 영천 채약산을 내어주고 크게 기봉하여 봉우리를 만들고 기봉하기 바로 전 이곳에서 잠시 용맥의 흐름이 쉬어 가는듯하여 여러 갈래로 지맥을 만들고 있는데 그중 한 맥이 바쁘게 달려온 낙동정맥을 잠시 쉬어가듯이 영천시 북안면 명주리 쪽으로 한 맥을 내어주고 있다. 어린손자가 할아버지께 재롱을 부리듯 좌우로 어깨를 흔들어가며 마치 청년기의 젊은 혈기가 왕성하여 용이 힘차게 움직이듯 하며 산봉우리의 높이를 점점 낮추어 가면서 이당 묘의 주산이 되는 곳에 와서는 이웃에게 인심을 베풀듯이 여러 지맥을 내어주고 중심맥은 다시금 부모를 그리워하듯 구룡산을 바라보면서 좌우에 든든하게 보좌하는 청룡과 백호의 지맥을 거느리고 명당의 형국을 만들고 있으며, 이곳이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광산이씨 이당묘역이 있는 곳이다.

이당 묘에서 앞을 보면 눈높이 보다 약간 낮은 산줄기가 왕이나 신하가 관대를 하듯이 일정한 높이의 산맥으로 묘역을 감사안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앞산(案山)을 옥대사(玉帶砂)라고 한다. 풍수지리학에서는 이러한 옥대사가 조응하고 있는 곳에서는 후손 중에 덕망을 갖춘 문관이나 무관의 벼슬을 하는 자가 많이 난다고 본다.

양동주 교수 프로필

△포항 신광 출신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겸임교수

△좋은터생활연구원 원장

△(사)精通風水地理硏究學會학술이사

△대구교육대교,포항대교,영진전문대

평생교육원 풍수지리학 교수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