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는 忠을 쫓아야 하고 그 충은 백성을 향해야 한다, 이 시대의 이순신은 없는가

제갈태일 편집위원

김 훈의 소설 '칼의 노래'에는 목과 코를 자르는 이야기가 나온다. 조선 수군은 적의 목을 베고 일본 수군은 적의 코를 베었다. 소금에 절여 상부에 바쳐졌고 전과(戰果)의 증거물이 되어 장수는 승진했다.

잘라낸 머리와 코에는 적과 아군의 식별이 없다. 포구로 돌아온 적들은 피난민의 아녀자까지 모조리 죽이고 코를 베었다. 피난민들은 다만 얼굴 가운데 코가 있기 때문에 죽었다. 기막힌 블랙코미디다.

작가 김 훈은 충남 아산에 있는 이순신 장군의 사당에 걸어둔 칼을 보았다. 오백년 전 칼이 전해주는 묵언을 소설로 썼다. 소설보다 진한 생동감은 영상예술에서다. 이순신을 그린 영화 '명량'이 압권이다.

개봉 12일 만에 관객 천만을 돌파했다. 첫날 68만 명이라는 역대최고 오프닝스코어도 기록했다. 한국 영화사의 기록을 모두 갈아치웠다.

명량해전은 처음부터 계란으로 바위치기였다. 12척의 함선으로 왜적 300여 척의 대(大)함대에 대항하는 것은 무모한 도박이었다.

더구나 원균이 이끌던 조선수군은 칠천량 해전에서 전멸했다. 1만 여명의 군사와 140척의 배를 잃었다. 남은 배라곤 전투 직전에 도망친 12척 뿐이었다. 명량해전에서 맞닥뜨린 왜적은 바로 칠천량 해전에서 대승을 거두어 기세가 오른 바로 그 일본 대(大)함대였다.

상황이 워낙 나빠지자 선조도 수군을 폐지할 생각까지 했다. 이순신은 "신에게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있다"며 필승의 장계를 올렸다.

조선수군을 궤멸시킨 왜군은 10여척의 잔류병을 처치하고 조선바다를 평정한 후에 한강으로 북진할 전략이었다. 왕과 대신들을 사로잡아 조선을 통째로 손에 넣겠다는 야망이었다.

이순신도 배수진을 쳤다. 서해로 나가기 위해 왜군이 반드시 통과할 울돌목인 명량을 결전장으로 선택한 것이다. 장군의 혜안은 적중했고 왜군을 물리치는 기적을 일으켰다.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인 나라를 구했으며 세계해전사상 길이 빛날 승리를 이끌었다.

울돌목은 물살이 빠르고 수로가 매우 좁다. 더구나 양쪽에는 암초가 있고 이 암초에 조류가 부딪히면서 요란한 소리를 내어 마치 바다가 운다고 하여 해협이름이 명량(鳴洋)이다.

300여 척의 왜군함대가 울돌목에 도착해 조선수군의 초라한 모습을 보면서 왜군은 실소를 금치 못했다. 오늘이야 말로 숙적 이순신을 죽이고 그동안에 당한 패배와 굴욕을 말끔히 씻겠다고 다짐했다.

초췌한 조선수군은 왜군의 대(大)함대를 보며 심장이 멎는 것 같았다.

그러나 장군은 '죽음을 각오하면 산다'는 명언을 현실화했다.

울돌목의 좁은 지형이 수적 열세를 커버했고 방향을 바꾼 거센 조류는 신의 구원군이 되었다. 궁지에 몰린 일본함대를 몰아붙이는 이순신은 학익진을 펼친다. 이른바 '죽음의 아가리'라 불리는 전술로 일본 수군은 침몰했다. 천우신조와 탁월한 전술이 빚은 기적이었다.

이처럼 칼의 노래는 비장했다. '장수된 자는 충(忠)을 쫓아야 하고 그 충은 백성을 향해야 한다'는 장군의 리더십이 빛났다. 많은 사람들이 '이순신 신드롬'에 몰입되는 까닭이다.

세월호와 함께 침몰한 국위(國威)를 치유할 이 시대의 이순신은 정녕 없는 것인가?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