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가 11일 타결되면서 대구 섬유와 경북농업이 위기에 처할 것이란 우려 섞인 전망인 가운데 전라남도와 함께 농업비중이 높은 농도(農道)인 경상북도가 발 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정부의 한·중 FTA 타결 공식발표 직후 한·중 FTA 체결에 따른 도 차원의 신속한 대책마련과 대정부 건의를 했다. 김 지사는 "농업인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농업현장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실질적인 피해 보전과 책임 있는 후속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산물은 단지 경제적 득실을 넘어 식량안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므로 정부는 김 지사의 대책 요구에 응답해야 한다. 도는 대구경북연구원과 농어업인, 학계 전문가 등이 함께하는 전담대책팀을 구성하고 다음달 중으로 도 단위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국은 최근 소득 증대 등으로 고품질, 안전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만큼 지역 우수 농식품의 수출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중 FTA는 90% 이상 개방하는데 합의했으나 농산물 개방수준은 품목수기준 70% 수입액기준 40%이다. 지난 10여년 동안 국내 농어업의 생산기반을 갉아먹는 주범인 중국 농수산물의 공세가 앞으로 더욱 심화된다. 중국과의 농수산물 교역에서 발생한 무역적자가 지난해 34억 달러로 2000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지역에서 우려했던 쌀과 고추, 마늘, 양파 및 소·돼지고기, 사과, 배 등은 농축산품은 양허대상에서 제외됐으나 관세 인하로 중국산 가공식품 수입이 증가는 확실시된다. 우리지역으로 중국산 가공김치, 과일 통조림, 가공농축산물 수입이 급증할 것이다. 지역 농수산업의 피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경북도로서는 농업분야 체질 강화와 농업계 지원체계 마련에 신속히 나서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 대구의 전통산업인 섬유, 의복 등 저가 제품 등 경공업 상품을 생산하는 대구지역 업체 타격을 받는다. 대구시장도 이에 대한 대책을 하루속히 내놓아야 할 것이다. 반면 중국 관세율이 자동차부품 6~10% 철폐될 경우 경주, 영천 등 자동차 부품업체는 새로운 기회를 맞게 된다.

시·도는 잘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지원 강화도 병행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