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박물관 수 전년比 63→57개소로 감소…문화시설 전문인력 감소, 프로그램, 유료 관객 개발 부정적 요인

박근혜 정부는 '문화융성'을 강조하며 문화를 통한 경제 부흥을 꾀하고 있다.

문화다원론 시대에 계층·지역·문화간 갈등을 없애고 화합함으로써, 국격을 높이고 국민이 행복해지는 국정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21세기를 문화의 시대는 물론, 문화를 산업으로 전환해 먹고사는 문제를 넘어 '행복을 키우는 문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움직임이다.

하지만, 경북도의 경우 문화기반시설 조사 기준부터 명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전문 인력도 크게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문화융성의 시대'에 발맞춰 경북 23개 시·군의 문화기반시설을 살펴보고, 경북문화융성을 위한 발전적 해법을 모색하려 한다.

◇ 조사 기준 '오락가락'

문화체육관광부가 발간한 '2014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에 따르면 경북도 등록박물관 수가 전년도 63개소에서 57개소로 크게 줄었다지만, 폐관한 박물관은 단 한 곳도 없다.

특히 총람에는 국공립박물관 중 경주 1개소를 비롯해 영주 1개소, 문경 2개소, 영양 4개소가 줄어 든 것으로 기록돼 있었다.

경북도 문화융성사업단 관계자는 "2013년 발간 자료에는 문학관, 기념관 등 문광부 등록기준에 맞지 않는 박물관을 포함했지만, 2014년 발간 자료에는 제외 한 것"이라면서도 "이번 자료에도 마을자료관, 사료관 등 미등록박물관이 포함돼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등록박물관의 등록기준이 바뀐 것은 아니다. 해마다 각 시군 담당자들의 판단에 따라 달랐던 것 같다"면서 "올해부터는 등록 여부를 떠나서 2014년을 기준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반면,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16조'에 따라 등록된 박물관 및 미술관을 비롯해 국공립까지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며 "현재 자료는 각 시·도 담당자의 조사결과를 믿고 취합한 것"이라고 밝혔다.

◇ 지방문화원 예산 '널뛰기'

경북도 지방문화원 연간 예산액이 서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담당자의 계산 실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자료에 따르면 경북도 지방문화원 연간 예산액은 209억2천67만6천원으로 경기에 이어 전국 2위를 차지했다. 전년도 89억4천107만2천원에 비해 230%가량 오른 수치다. 하지만, 취재결과 경북도 지방문화원 연간 예산액은 총람 기록의 절반 수준인 113억5천163만1천원으로 밝혀졌다.

"고령문화원(30억), 칠곡문화원(8억), 김천문화원(39억) 등 지역 문화원 시설개선비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별 문제 아니라던 경북도 관계자는 "한국문화원연합회에서 조사한 결과에 실수가 있었다. 문화체육관광부에 정정요청을 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전국 지방문화원 229개소 중 경기가 31개소로 가장 많고, 서울(25개소), 경북(23개소) 순으로 나타났다.

경북도 지방문화원 연간 참여자는 전년도 60만4천771명에서 28만9522명으로 크게 줄었고, 자체자금 비중(8.7%에서 5.07%로)과 직원 수(66명에서 63명으로)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력 감소, 유료관객률 줄어

경북도 문화기반 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인력 감소와 더불어 유료관객률도 크게 줄었다.

6개소가 감소한 것으로 제출한 등록박물관의 학예직원은 84명으로 전년도(147명)에 비해 63명이나 줄었다. 43%가량 감소한 수치다. 1관당 평균 직원수는 7.46명(전년도 6.22명)으로 늘어난데 반해, 학예직원수는 1.47명(전년도 2.33명)이 근무 중이다.

전년도에 비해 2개소 증가한 등록미술관(9개소)의 직원은 21명 늘었지만, 학예직원수는 1명 증가에 그쳤다. 연관람인원은 31만3천574명으로 전년도(71만845명) 대비 39만7천271명이나 줄었다.

전년도 대비 1개소 줄어든 문예회관의 전문직원수는 10명이나 감소한 69명으로 나타났고, 유료관객률도 21.72%(전년도 23.25%)로 감소했다.

지역 문화기반시설의 전문성이 떨어진 만큼 관객이 찾지 않는다는 것을 반영하는 대목이다. 이처럼, 경북지역의 문화 인프라는 전국 타지역에 비해 열악하기 짝이 없다. 그나마 있는 시설도 전문인력 부족으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계 전문가들은 "학예직, 사서직 등 전문인력이 감소하는 현상은 전문 프로그램 및 관객 개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기관별 전문인력은 충분히 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문화계 인사는 "지자체에서 정확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으면 지역 문화발전에 방해요소가 될 뿐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매년 발간하는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도 믿을 수 없게 된다"며 "문화예술담당 공무원부터 인식을 새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