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환경변화 정확한 실태조사부터 선행돼야

모래가 유실된 앙상한 모습의 송도해수욕장 너머로 포항제철소가 보이고 있다.

□포항 해안 연안 변화의 원인

포항의 해양환경이 변하고 있는 원인은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항만 건설과 포항제철소 건설, 지구온난화에 따른 지구환경변화 등 이 세 가지가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어민들은 지구환경변화 보다 인간의 개발로 인한 결과라고 보고 있다.

영일만항 인근 바다에서 매립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모습. 덤프트럭이 줄지어 다니며 바다에 흙을 붓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이전에 없던 구조물이 생기는 등 인위적인 이유로 이전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포항제철소 건설

포항제철소는 사업 시작부터 지난 1983년 조강 910만t 체제를 갖출 때 까지 무려 15년이 걸렸다.

이 사업으로 포항 해안의 구조는 완전히 변했다. 포항제철소가 바다를 메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부지 면적은 육지와 매립지를 아울러 890만㎡에 달한다.

또한 포항제철소 운영을 위해 포항신항이 건설되면서 원료와 철제품 등 화물을 싣는 대형 선박 바다 길을 내기 위해 모래를 퍼내 바다지형을 바꿨다.

최근인 지난 2010년부터 2년간 진행된 '포항신항 수역시설 증심 준설사업'도 대형 선박 입항을 위해 진행됐다.

준설면적은 176만3천㎡, 준설량은 283만5천132㎥로, 준설토는 포항신항 내 '제3부두' 매립재 활용 등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영일만항 건설

포항수산업협동조합이 지난 2012년 주식회사 성진디앤씨로부터 받은 용역보고서를 보면 영일만항은 외곽시설 방파제 7천370m, 접안시설(안벽) 4천290m, 매립 390만㎡ 등 규모이다.

이 사업은 지난 1996년 사업을 시작해 2020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으로, 사업규모는 2조8천여억원에 달한다.

영일만항 주변 해역은 항만 내 파도를 막고 항을 이용하는 선박들의 묘박지 용도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북방파제 공사를 마쳤다. 또한 남방파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들 방파제는 과거 동해안을 흐르는 해류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어민들이 해안을 망치고 있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기도 하다. 이를 반영하듯 항만청은 환경변화를 조사, 보상을 진행했으며 항계선 안에 위치한 해역에 대해 복원사업들을 벌이고 있다.

△바다로 흘러드는 오폐수

성진디앤씨의 용역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루 총 30만3천735㎡의 오폐수가 포항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 중 생활하수는 23만7천989㎡로 전체의 78%를 차지했다. 이어 산업폐수는 6만1천248㎡(20%), 축산폐수는 4천498㎡(2%)가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를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으로 환산하면 축산폐수는 2만1천404kg/일로 전체 BOD부화량 9만2천27kg/일의 23%에 달하고 있다.

전체 폐수량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산업폐수의 경우 대부분 포항철강공단이 위치한 형산강 하류지역에서 흘러나온다.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57%는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하는 폐수이다.

오폐수는 부유물과 함께 바다로 흘러들고 있기 때문에 바닥에 쌓일 경우 환경오염은 물론, 해저생태계 파괴의 주범이 되고 있다.

"부유물이 썩으면서 발생한 오염물질은 포항 온 연안을 떠다니며 피해를 키우고 있다"는게 어민들의 입장이다.

△기타 오염원

해안에서 진행되는 대규모 공사도 해안 오염과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지난 2011년 해병대가 강화훈련장을 포항시 북구 송라면으로 옮겼을 때도 이같은 문제는 제기됐다.

당시 일대 어민들은 어패류 폐사 등 각종 피해를 호소했었다.

이들은 이전공사에서 흘러나온 토사가 바다로 그대로 유입, 성게와 전복 등 정착성 어패류와 해조류 등을 폐사시켰다고 주장했다.

실제 송라면 광천에는 공사장에서 유입된 토사로 수중에 10cm 가량의 뻘이 생기는 일도 벌어졌다.

□포항 연안을 살리기 위한 해결책은 없는 걸까.

항만공사 등 해안에서 벌어지는 대규모 공사는 거금을 들인 용역을 통해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친 뒤 진행된다.

그러나 이 평가결과에 나온 예측은 개발 후 나타날 자연의 모든 현상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한다.

앞서 진행됐던 공사들도 이 과정을 모두 거쳐 진행됐으나, 모래유실 또는 퇴적작용을 전부 예측할 수 없었다.

남구 호미곶, 구룡포 등 일부 지역에 모래가 쌓이는 현상도 영일만항 건설 등의 평가에서 사실상 드러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복원사업을 위해 해수욕장에 모래를 붓고, 전복 등 어린 해산물을 바다에 뿌리고, 바다어장을 복원하는 사업 등은 진행되고 있다.

결국 현재 포항 바다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돈만 쏟아 붓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모습을 두고 수협, 어민회 등은 지금처럼 계속되다가는 포항 해안은 완전히 생명을 잃을 것이라고 비관적인 입장을 비췄다.

더욱이 어민회는 복원이 아닌 보상만이 모든 상황의 해답이라는 말도 할 정도다.

이들이 주장하는 해결책은 두 가지다.

포항 해안에 대한 환경변화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다 전문기술을 보유한 국립수산과학원 등의 부속 기관을 포항에 유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정확한 데이터를 근거로 복원사업을 진행해야 하는 것은 그 다음 진행돼야할 당연한 절차다.

이와 함께 이들은 무분별한 해안개발, 오폐수로 인한 해양오염, 불법조업행위 등을 줄이거나 근절하기 위해 지자체 등 당국의 철저한 감시와 장기적인 계획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구룡포 수협 관계자는 "포항이 세계적인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개발에 환경보존이 밀려서는 안된다"며 "포항에 해양생태계를 정확히 관찰할 수 있을 만한 기관이 들어서야 한다. 뿐만 아니라 철저한 검증을 거쳐 복원사업이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위적인 복구보다 자연이 스스로 재생할 수 있는 기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포항시 어민회 관계자는 "조만간 한 기업이 포항 연안에 대한 환경조사를 진행할 예정이지만, 이마저도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며 "기업의 이익을 우선에 두지 않는, 지역을 위한 조사를 진행해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