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소방당국 엇박자…정확한 위치조차 파악 못해

소방용수시설 소화전이 중구난방으로 설치되고, 보수도 즉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설치·관리를 두고 소방당국과 지자체간 엇박자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소화전은 소방기본법에 따라 주로 일반수도사업자인 지자체(시·군)가 설치·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시·군은 지역 상수도 사업과 병행하며 소화전 설치 기준을 근거로 주거·상업·공업 등 지역에 소화전을 설치한다.

그러나 이렇게 설치된 소화전은 법에 근거했을 뿐, 사실상 화재 대응을 위한 적재적소에 설치되지는 않고 있다고 포항 한 소방관은 밝혔다.

이 때문에 일선 소방서 역시 따로 예산을 받아 1년에 2~3개씩 소화전을 설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포항북부소방서의 경우도 한해 1천여만원의 예산으로 소화전(1개당 500여만원 상당)을 설치하고 있다. 포항시의 올해 소화전 설치·관리 예산은 6천만원이 책정됐다.

이런 식으로 그동안 포항에 설치된 소화전은 모두 1천22개에 달한다.

이 문제는 소화전이 어디에 언제 설치 됐는지 기록이 남지 않고, 관리가 되지 않는 또 다른 문제를 낳는다.

이로인해 포항에서는 26일부터 소방서 일제점검에 더해 '소방서+지자체' 합동점검이 또 다시 진행 중이다.

이 점검은 고장 소화기를 찾는 것 보다 그 동안 설치됐으나, 각 기관 기록에서 누락된 소화전을 찾는 의미가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문제에 더해 소화전 즉각 보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고장 난 소화전은 관리를 맡고 있는 지자체보다 소화전을 사용하는 소방당국이 먼저 알아차린다.

이후 지자체에 '소화전 보수 요청 공문'을 보내 보수작업이 진행된다. 하지만 기관별 공문이동 등으로 보수 작업이 처리되기 전까지 기본 하루 이상 넘겨야 한다.

이달 초 포항남·북부소방서는 각각 관내 소화전 일제점검을 실시, 모두 19개의 고장 난 소화전을 찾았다.

각 소방서는 '소화전 보수 요청 공문'을 만들어 포항시에 발송, 시는 자제를 확보하고 민간업체를 통해 보수에 들어갔다.

26일 현재 보수가 완료된 곳은 13곳으로, 나머지 6곳은 아직 자재 등 문제로 공사가 끝나지 않았다.

상황이 이렇자 기관별 엇박자에 따른 화재안전 사각지대를 해소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소화전 설치사업에 소방서에서 요청한 보수까지 한정된 예산으로 집행하려면 빠듯하다"며 "기관별 행정력과 예산이 낭비되는 부분은 개선돼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