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편찬위원회, 제96주년 3·1절 맞아 발표 인물사진 포함돼 귀중한 역사 자료로 평가

과거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 경찰이 독립운동가 등 '감시 대상'으로 낙인된 인물들을 관리하고자 만든 카드 형태의 기록이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국사편찬위원회가 공개한 이번 자료는 자체 소장한 '일제 감시 대상 인물카드'를 제96주년 3·1절을 맞아 데이터베이스(DB)화 해 지난달 26일 발표한 것이다.

이번에 공개된 인물카드는 일제 경찰에 검거 또는 수배되거나 감시를 받던 인물에 대해 당시 경기도 경찰부에서 작성한 기록으로 다수의 독립운동가들이 포함돼 있어 일명 '수형자 카드'또는 '독립운동가 신상기록카드' 등으로도 불리고 있는 귀중한 역사 자료이다.

이 자료에는 영주지역 인물들도 다수 포함돼 있어 지역 독립운동 역사에 기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과거 자료에서 찾아보기 힘들었던 인물 사진이 포함돼 있어 높은 가치를 지닌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인물 대부분 3·1 만세 운동과 관련된 인물

이번에 발표된 자료에는 영주(영주군)출신 감시대상은 총 8명이다. 대부분 3.1운동 등 일제에 맞서 항거한 인물들이다. 이들 감시대상자들은 사진과 함께 이름, 본적, 주소 등의 신상정보와 검거 시기 및 관서, 죄목, 재판 정보 등 사법처리 내역이 기록돼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따르면 일제는 3·1운동으로 한국인들의 민족의식이 고양되자 위기감을 느끼고는 한국인에 대한 감시와 관리를 강화하고자 인물카드를 만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작성 시기는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 후반 또는 1920년 무렵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영주지역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기존의 영주군, 풍기군, 순흥군이 합쳐져 영주군이 됐고 과거 영주군 관할구역은 영주면, 이산면, 평은면, 문수면, 장수면, 단산면, 부석면, 상리면, 순흥면, 하리면, 풍기면, 안정면, 봉현면 등 총 13개 면으로 다양한 곳에서 만세운동이 벌여졌다. 상리면과 하리면은 1923년 예천군에 편입됐다.

이번 자료를 살펴보면 우리고장 출신 8명의 인물 중 보안법 5명<안용호(安鎔鎬), 오하근(吳夏根), 이재덕(李宰德), 이용헌(李容獻), 권창수(權昌銖)> 은 3·1절 만세운동과 관련된 인물들이다. △ 1919년 4월 9일 풍기(豊基) 장날을 기해 독립만세시위를 벌여 옥고를 치른 안용호(安鎔鎬) 선생 △ 1919년 4월 영주군 하리면 은산장터에서 만세운동을 벌여 옥고를 치른 이재덕(李宰德), 이용헌(李容獻) 선생 △ 영주군청소재지였던 영주면에서 1919년 3월 20일 장날을 기해 영주 시장 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주도한 오하근 선생 등이 보안법으로 일제의 감시를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영주면은 우리고장에서 가장 먼저 만세시위가 일어난 곳이다. 이 밖에도 권창수 선생은 1919년 영주군 하리면(下里面)에서 만세시위운동에 참여해 1년 8개월의 형을 받았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사상통제법으로 알려진 치안 유지법 2명<김우진(金宇鎭), 김종진(金鍾鎭)>과 소요 1명<장진규(張振奎) 본적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동, 주소 경상북도 영주군 평은면 금광리>도 눈길을 끈다. 이 가운데 평은면 수도리 출신 김우진 선생이 이번 자료에서 새롭게 확인됐지만 주소와 죄목 뿐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다각적인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김우진 선생과 같은 평은면 수도리 출신으로 안동청년동맹(安東靑年同盟) 와룡지부(臥龍支部) 및 신간회 안동지회(安東支會), 영주 농민조합재건투쟁준비위원회(農民組合再建鬪爭準備委員會)에서 활동한 김종진 선생은 1934년 7월 2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룬 것으로 접타나 있다. 김종진 선생은 1932년 12월 적색농민조합(赤色農民組合)을 창립해 정기적으로 농민강좌를 개최하기도 했다. 영덕에서 활동한 장진규 선생(영주군 평은면 금광리)은 대정 8년(1918년) 소요로 인해 1년6개월의 형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국사편찬위원회 관계자는 "일제 경찰당국은 일제의 통치에 반대, 반항했거나 그런 행동을 취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인물들의 명부를 만들어 일상을 추적·감시했다"며 "인물카드는 이런 인물들에 대한 수사와 체포의 효율성을 높일 기초자료로 고안돼 일제 말기까지 사용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