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5.0 이상 지진도 꾸준히 늘어…지진 대비책은 '미흡'

네팔에서 강진으로 1천500명 이상의 대규모 사망자가 발생하자 과연 한반도는 지진에서 안전할지가 또다시 관심사가 되고 있다.

네팔 수도 카트만두 인근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은 워낙 규모가 강력한 데다 '내진 설계'가 전혀 되지 않은 허름한 주택들이 많아 피해가 더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도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육상에서 나면 건물 벽의 균열이 일거나 낡은 건물의 경우 무너져 인명 피해를 일으킬 수 있지만, 건물 내진 설계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26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이날까지 한반도에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총 13회 관측됐다.

연평균 발생 건수는 1978년 기상대 관측 이후 1980년대 16회에서 1990년대 26회, 2000년대 44회, 2010∼2014년 58회로 크게 느는 추세다.

규모 5 이상의 지진도 1978년 9월 충북 속리산 부근, 1978년 10월 충남 홍성군 홍성읍에서 발생한 후 한동안 없다가 2003년 3월 인천 백령도 서남서쪽 해역, 2004년 5월 경북 울진 해역, 2014년 4월 충남 태안 해역 등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한반도가 이렇듯 지진 안전지대로 볼 수 없는데도 내진 설계 등 지진 대비책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그동안 제기돼 왔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자료를 보면 내진 설계 적용 대상 공동주택은 전국적으로 모두 30만 7천597동이지만 실제 내진 기능이 있는 건물은 18만 5천334동(60%)에 불과했다.

서울은 9만 5천866동이 내진 설계 대상인데, 이 중 3만 5천520동만 내진 성능을 확보, 내진율이 37.05%로 최하위 수준이었다.

전국에서 내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로 34%였고, 경기와 충남도 각각 47%, 51%에 불과했다.

그나마 최근 건설된 계획도시 세종시 공동주택의 내진율이 100%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남 96%, 인천 92%, 경북 91%, 부산 88%, 대전 87%, 강원 87% 등 순이었다.

기상청 관계자는 "우리나라도 역사적으로 규모 5∼6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관측된 기록이 있다"며 "결코 안전하다고만 볼 수 있지 않은 만큼 지진 안전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 역시 이구동성으로 지진 대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한반도도 지진 안전지대라고 말할 수 없다"면서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규모 7에 육박하거나 넘어서는 지진의 기록이 많이 나온다. 시기가 문제일 뿐 미래에도 그런 지진이 발생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규모 6을 넘는 지진이 없었기에 안전하다는 생각은 짧은 역사만 보고 오해한 것"이라면서 "최근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내진설계를 강화하는 움직임이 있는데 이를 더욱 강화해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발생빈도가 증가하면 그보다 큰 지진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면서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면 인명피해에 대비한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일본이나 네팔에 비해 발생빈도가 100분의 1도 안 되지만 지진에 안전한 장소는 지구상 어디에도 없다"면서 "초고층 건물과 학교 등은 내진설계를 특히 철저히 해야 하고, 지진에 대비한 행동요령 등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