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합의된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안이 실행되면 원자력 연구개발에 자율성이 확대된다. 이에따라 경상북도는 원자력클러스터의 핵심 사업인 제2원자력연구원 유치에 긍정적인 여건이라고 보고 유치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번 새로운 협정은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과 재처리·재활용(파이로 프로세싱), 영구처분, 해외 위탁처리 등 어떤 방안을 추진하더라도 양국 간 협의를 통해 할 수 있는 길을 마련했다. 특히 한미 양국이 공동연구를 진행 중인 파이로 프로세싱 등 미래기술을 계속 추진할 수 있게 된 점도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전향적이다. 이 새로운 협정은 세계 5위 원전 강국인 우리 원자력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자력연구원에서도 세계 일류의 원천기술 개발 및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제2원자력연구원 설립 필요성이 증대될 것이다.

경북도는 그동안 추진했던 원자력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와 함께 제2원자력연구원 설립을 통해 과학연구 중심지로 발돋움한다는 종래의 방침을 재차 확인했다. 제2원자력연구원 설립은 국제적인 원자력 기술 선도와 원자력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에너지산업 육성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경북은 국내 최대 원전 집적지로서 우리나라 원전 20기중 10기를 보유(50%)하고 있는 원자력 산업의 중심지이며 에너지산업 육성을 위하여 R&D사업과 연계한 원자력연구개발기관이 필요하다. 원자력 관련시설 집적지로서 세계적 수준의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방사광가속기, 방폐장, 한수원 본사, 양성자 가속기 등 연구개발 인프라가 풍부한 등 제2원자력연구원 유치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경북도에 제2원자력연구원이 유치되면 생산 유발, 부가가치 유발 등 지역경제 파급 효과도 상당하다. 유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포항공대나 경북도립대학에 원자력산업기술인력을 양성하는 핵응용산업과(원자력응용산업과) 설치도 검토해볼만 하다. 경북도가 이번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계기로 에너지산업 메카로 발전시켜 나가도록 더욱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명박 대통령 재임시 원자력클러스터조성 사업과 관련해 지원을 약속했으나 지금까지 진척이 없는 실정이다. 간단한 사업은 아니므로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