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경기 침체로 市 재정 적신호 창조경제 베이스캠프는 기업 포스코 신규투자·설비 도와야

▲ 김성열 포항JC 회장
글로벌 경제위기에다 국내 내수 침체의 영향으로 포항의 재정 확보에도 적신호가 켜진지 몇 년이 흘렀다.

이대로 가다간 머지 않아 경북 제1의 도시 자리를 구미에 물려줄 것이라는 불안감마저 고조되고 있다.

포항시의 든든한 '기댈 언덕'이기도 했던 포스코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방세 납부가 줄어 포항시 가용 재원이 바닥을 보이고 있다.

포항시는 포항제철소의 왕성한 조업활동에 의한 지방세 납부 외에도 주요 사업마다 포스코의 '큰손' 도움을 받아왔다. 포항제철소가 생기면서 도로와 항만 등 포항시 인프라 조성에 꾸준한 지원이 있었다. 굵직한 것만 해도 포항운하 복원에 300억원, 환호해맞이공원 조성 200억원, 포항시장학회 장학금 100억원, 그리고 매년 포항국제불빛축제 지원에 이르기까지.

포항시 재정규모는 지난 5년간 13% 증가해 올해 본예산이 1조3천97억원으로 성장세를 유지했지만 최근 철강경기 침체로 지방세수가 감소 추세로 돌아서 건전재정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

포스코가 2014년 납부한 지방세는 323억원으로 2013년 276억원 보다는 늘었지만 지방세 납부가 가장 많았던 2009년(918억원)과 비교하면 2/3가 줄어든 셈이다. 포항시가 매년 거두는 지방세 규모가 3천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철강경기 하락의 여파가 크다.

2009년 포스코가 포항시에 납부한 지방세는 시 세입 전체의 32%. 이러던 것이 2014년에는 10%로 떨어졌다.

현대제철 등 철강공단 다른 기업들의 지방세도 같은 기간 반토막났다. 이 때문에 각종 신규·재량사업 진행이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고 실제로 진행 중인 대형 토목공사는 눈을 씻고 봐도 없다.

이처럼 '포항경제 위기론'이 현실화되면서 전자업종군이 밀집한 구미에 바짝 추격 당하고 있다.

시 재정은 총예산 규모에서 올해부터 포항시는 구미시에 추월당했으며 재산세 부과도 2014년 기준 구미는 338억원, 포항은 317억원이다. 세입 증가율도 2013~2014년 기준 구미시 11.3%, 포항시 7.7%로 갈수록 격차가 커지고 있다.

그나마 아직 희망의 불씨는 있다.

지난해 8월 포항시와 포항제철소가 '상생협력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포항제철소는 2016년까지 2고로 개수, 2소결공장 성능 설비 교체 등의 대형 투자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포항제철소가 노후설비 개선을 예정보다 앞당겨 지역경제의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할 방침이지만 급변하는 경영환경으로 쉽지는 않다. 포스코도 자구책 마련을 위해 몸부림 치고 있다.

폐수까지도 자원화해가며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각종 에너지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비용절감 방안을 찾고 있다.

이제 지역경제의 해법은 단 하나로 귀결된다. 지방자치단체가 포스코와 철강공단 등 기업의 애로사항에 귀를 열어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포항 경제의 대들보인 포스코의 신규 투자와 설비 신예화를 적극 도와야 한다. 산업도시는 기업이 살아야 도시도 산다.

창조경제의 든든한 베이스캠프는 바로 기업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