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 합동평가단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을 '메르스 감기'로 표현했다. 이어진 브리핑에서는 정부가 "메르스가 국가 재난 사태는 아니다"라며 위험이 실제보다 부풀려졌다는 WHO의 시각에 동의했다.

하지만 지역사회 감염의 우려가 여전한 상황에서 메르스의 위험성을 너무 낮게 평가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한국-WHO 합동평가단의 이종구 공동대표(서울대 의대 이종욱 글로벌의학센터장)는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애초에는 메르스를 폐렴을 동반한 중증질환으로 판단했는데 대부분 '메르스 감기'라고 할 정도의 질환이었다"며 대응 수위가 과도한 면이 있었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공동대표는 "메르스 감염자가 무증상부터 사망까지 진행하는 전 기간을 본 적이 없어 (질병을 제대로 평가할) 정보가 부족했다"며 초창기 과도한 대응의 원인으로 '정보 부족'을 꼽았다.

그는 "메르스는 병원 중심으로 진행되는 접촉성 질환으로, 재난으로 보기에는 지역 단위에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며 "불필요한 오해로 과도한 공포가 생겼다"며 과도한 대응이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했음을 시사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의 권덕철 총괄반장은 이어진 브리핑에서 "신종플루나 사스처럼 전국에서 급속하게 확산되면 재난이지만 메르스는 병원 내 연결고리만 차단하면 확산하지 않을 것"이라며 "메르스를 재난상황으로 보고 있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WHO와 정부는 국내에서 메르스의 위험성이 실제보다 부풀려지면서 불필요하게 국민의 공포심이 커지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는 시각을 드러냈지만 일부에서는 반대 의견도 있다.

한 대학병원의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그 어떤 전문가도, WHO도, 미국 질병통제센터(CDC)도, 평택성모병원에서 메르스 환자 수십 명이 나올 거라고 예상하지 못했다"며 "당시에 환자 한 명을 놓친 것이 지금 사태의 근본 원인"이라며 총력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메르스는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산발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생각보다 더 오랜 장기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며 "국가 재난이 아니라며 위기 상황이 아니라고 단정하기보다 장기전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