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심각한' 상황인식 표출…추가도발 억제 공개 메시지

PYH2015082108410001300.jpg
▲ 북한군의 서부전선 포격 도발 사건에 대응해 한미 양국 군이 연합작전체제를 가동한 것으로 확인된 21일 긴급 지원 태세를 갖추고 있는 경기도 동두천 지역의 한 미군부대에 다양한 화기들이 대기 하고 있다. 연합
북한의 서해전선 포격도발 이후 조성된 한반도의 긴장 상황을 놓고 미국도 만반의 대응 태세에 돌입한 분위기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와 국무부, 국방부는 현 국면이 자칫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시시각각 돌아가는 한반도 상황에 예민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같은 기류는 21일(현지시간) 미국 국무부의 공식 논평에 고스란히 반영돼 있다. 국무부는 이날 논평에서 "한반도의 긴장을 높이려고 하고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 북한의 위협적 언사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포격도발 사건 직후인 20일 나왔던 반응과는 확실한 온도 차를 드러내고 있다. 당시 국무부는 "한반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북한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언행을 삼가라"는 '촉구성 논평'을 내놓은 바 있다.

미국이 현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인 데에는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준전시 상태'를 선포하고 48시간 이내에 우리 군의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지 않으면 군사행동에 나서겠다고 발표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예고한 대로 군사행동에 나설 경우 한·미 동맹 차원의 맞대응이 불가피하고, 상황은 걷잡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서 인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미국 측 대응의 중심은 한미 동맹을 통한 확고한 한반도 방어태세 유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비드 시어 국방부 동아시아담당 차관보는 이날 언론브리핑에서 "우리는 이번 연합훈련을 (북한에 대한) 대비 태세를 높이는데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만일 북한이 추가도발을 꾀할 경우 동맹인 한국과의 철저한 공조를 통해 단호하게 대응한다는 입장을 정리해놓았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현 시기는 한·미 양국이 연례 연합훈련인 을지 프리덤 가디언(UFG) 훈련을 진행하고 있는 국면이어서 양국 군의 공조와 공동대응 능력이 가장 높은 수준에 와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어 차관보는 "이번 훈련과정에서 우리는 한국 측 카운터파트들과 효율적으로 소통하고 공조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공조의 내용으로 ▲미군 사령관들에 대한 한반도 상황 브리핑 ▲양국 군당국 간 대화를 통한 상호이해 향상을 꼽았다.

오는 28일까지로 예정된 연합훈련은 북한의 포격도발 이후 일시적으로 중단됐다가 재개된 상태이다. 훈련이 일시 중단된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시어 차관보는 "양국 군의 공조를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이처럼 한·미 동맹을 통한 확고한 연합방위태세를 강조하면서도 현 국면이 추가적인 상황 악화로 이어지는 것을 경계하려는 분위기도 읽히고 있다.

한반도 상황의 불안정과 긴장 고조는 동북아 역내 안보질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주력해온 미국의 전략을 송두리째 흔들고 추후 외교적 활로를 모색할 기회 자체를 봉쇄하기 때문이다.

다음 달 하순 시진핑 국가주석의 워싱턴 방문 일정을 준비 중인 미국으로서는 이번 사태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발전하면서 중국과 새로운 갈등을 빚는 것을 피하려고 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도발의 주체인 북한과 대화할 수 있는 창구 자체가 사실상 막혀 있는데다, 중국을 이용한 우회적 메시지 전달도 여의치 않은 게 문제이다. 북·중 관계의 악화로 중국의 대북 지렛대 효과도 크지 않은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일단 북한을 향해 "비무장지대(DMZ) 일대에서의 도발을 중지하고 한반도에 평온을 회복할 것을 촉구한다"는 공개적 메시지를 던지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한 외교소식통은 "미국으로서는 현재 강력한 동맹태세를 유지하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단계"라며 "북한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대응의 성격과 방향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