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실전배치 눈앞

북한은 장거리 로켓의 사거리를 확장하는 엔진 시험을 계속해 온 끝에 사거리 1만3천여㎞ 가량의 로켓 추진체를 개발한 것으로 당국은 분석하고 있다. 사거리 1만3천여㎞는 북한에서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거리이며, 사실상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실전 배치를 눈앞에 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북한은 ICBM인 'KN-08'을 개발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는 탄두 형태가 뭉툭해진 개량형 KN-08을 선보이기도 했다. 2단 추진체인 이 개량 미사일은 탄두 부분에 자세를 제어하는 보조 추진기관을 장착해 안정적인 장거리 비행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분석이다.

ICBM과 노동미사일(사거리 1천300㎞), 스커드 미사일(사거리 300~700㎞)에 핵탄두를 탑재하기 위한 소형화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이미 핵탄두 소형화 기술을 상당히 확보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핵탄두를 1t 이하로 소형화하는 데 성공한다면 현재 개발 중인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에도 장착할 수 있게 돼 미국 본토나 주일미군 기지, 괌과 앤더슨 기지, 남한까지도 핵무기 타격권에 들어간다.

북한은 KN계열의 단거리 미사일을 포함해 2천여기의 각종 탄도미사일을 개발해 실전 배치한 상태이다. 이 가운데 스커드는 600여기, 노동 미사일은 200여기 가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이 사거리 1만3천여㎞의 장거리 로켓을 개발한 데 이어 핵탄두 소형화 기술까지 확보한다는 가정 아래 '맞춤형 확장억제전략'과 '4D'(탐지·교란·파괴·방어) 작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 전략과 작전계획은 유사시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이 발사되기 전 지상기지에서 선제 타격하는 개념까지 포함하고 있다.

미국이 가장 경계심을 갖는 것은 ICBM이 발사된 이후 외기권에서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때 필요한 재진입체 기술과 탄두 보호 기술 확보 여부이다.

미사일이 외기권에서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때 엄청난 고열이 발생하는 데 안정적으로 자세를 잡고 탄두가 고열에 터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은 미국, 중국, 러시아 정도가 확보하고 있다.

북한은 개발을 끝낸 KN-08을 한 번도 시험 발사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이런 기술을 가졌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군은 지난 6일 감행된 북한의 4차 핵실험을 사전에 파악하지 못해 질타를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에는 놓치지 않겠다는 각오로 동창리 발사장을 면밀히 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