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원북원 포항' 선정…인문학자 김경집 강연 내용 엮어 엄마 스스로의 자존감 회복·행복의 의미 재구성 훈련 과정

"엄마들, 인문학으로 세상을 바꾸다."

인문학자 김경집은 총체적인 위기에 빠진 대한민국을 구할 해법은 '엄마'와 '인문학'밖에 없다는 진단을 내렸다. 그리고 그는 엄마들을 직접 만나 자신의 생각을 전하기로 하고 뜻있는 사람들을 모았다. 이렇게 해서 김경집을 중심으로 세바인 인문교육문화연구소(대표 박영철, 수석연구원 김희주)가 만들어졌다. '세바인'은 '세상을 바꾸는 인문학'의 준말이다. '엄마 인문학'은 세바인 인문교육문화연구소가 시작한 첫 번째 인문학 프로젝트다.

모두 여섯 회에 걸쳐 진행된 엄마 인문학 강연에서 김경집은 가정의 CEO이자 사관(士官)인 엄마가 나서야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역설했다.

자녀의 성공을 통해 자존감을 찾으려 하지 말고 엄마가 먼저 행복해져야 아이도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이 중심 주제였다.

인문학 수업은 엄마가 스스로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행복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시각과 관점을 마련하며,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삶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훈련 과정이었다.

올해 원 북 원 포항(One Book One Pohang)으로 선정된 '엄마 인문학'은 인문학자 김경집이 엄마들을 대상으로 가진 여섯 번의 강연을 엮은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역사, 철학, 예술, 정치, 경제, 문학의 프리즘을 통해 오늘날 대한민국이 처한 현실이 어디에서 비롯됐는지 진단한다. 그리고 이 위기를 극복할 해법으로 '엄마'와 '인문학'을 제시하며 엄마들의 인문학 혁명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단언한다. 오늘을 통해 만들어질 미래를 바라보며, 수많은 사상가들이 쌓아 온 창조적인 생각이 세상을 변화시켜 온 흐름을 짚어 본다. 저자는 우리 사회를 변화시킬 주역으로 왜 인문학과 엄마를 손꼽았을까? 대답에 앞서 그는 제대로 된 역사의식을 갖기를 주문한다. 과거의 일들이 어떻게 오늘과 연결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또한 지금 우리의 오늘이 어떤 미래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밑그림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저자는 "최소한 우리 아이들은 더 나은 세상에서 살기를 바라는 것, 그것이 바로 역사의식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철학으로 향한다. 1997년 대량 해고 사태 속에서 우리 국민들은 회사에서 나가라고 하면 군말 없이 이를 수용했다. 학교와 사회의 잘못된 학습으로 인해 개인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시대와 철학이 맺고 있는 긴밀한 관계를 살피면서 철학은 '자유로운 개인'을 회복하기 위한 인간 의식의 진보 과정이었다고 말한다. 물질과 그릇된 욕망에 함몰된 자아를 되찾는 것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출발점이다.

저자는 역사와 철학, 예술, 정치, 경제를 통합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훈련으로서 문학이라는 카드를 꺼낸다. 한 편의 시가 우리의 하루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좋은 소설과 수필이 어떻게 현실과 세상을 드러내는지, 또 희곡을 통해 어떻게 상상력과 창조력이 함양되는지를 보여 준다.

김경집에게 인문학은 과거의 지식을 답습하고 현재의 지식을 축적하게 하는 문서화된 인류 지식의 총량이 아니라 나를 바꾸고 삶을 바꾸고 세상을 바꾸는 가장 훌륭한 도구인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인문학과 엄마가 만났을 때 일어날 어마어마한 변화와 혁명을 이야기한다. 엄마가 자아를 깨닫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과 관점을 가졌을 때라야만 세상을 바꿀 수 있다. 남성들의 피비린내 나는 혁명이 아니라, 권위와 힘으로 짓누르는 강제가 아니라, 안으로부터 시작되는 부드러운 변화만이 진정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 그것은 엄마들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저자는 본문에서 "세상을 바꾸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엄마들의 혁명입니다. 엄마부터 시작하면 세상이 변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을지 고민하세요. 이제 혁명은 여성의 몫이에요. 엄마의 몫입니다"고 강조했다.
남현정 기자
남현정 기자 nhj@kyongbuk.com

사회 2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