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도 경북, 신도청 시대 '활짝'

병신년(丙申年)은 경북도에 있어 특별한 해다. 35년간 이어진 대구 더부살이를 청산하고, 이번달 안동·예천 신도시 안에 마련된 신청사에서 새롭게 둥지를 틀고 새천년을 열게 된 것이다. 1314년 고려 충숙왕 원년 경상도를 개도한지 702년 만에, 1886년 대한제국 칙령으로 경상북도를 개도한 이래 130년 만에, 1966년 대구시 산격동으로 청사를 이사한지 50년 만에 새로운 터전으로 옮긴다. 그동안 이전 시기를 몇 차례 연기하는 등 우여곡절도 많았으나 대구 더부살이를 마감하고 제자리를 찾게 됐다.



도청이전은 단순한 소재지의 변경을 넘어 경북의 역사에 큰 획을 긋는 중차대한 일이다.

우리나라 17개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유일하게 남아있었던 소재지와 관할구역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해 냄으로써 도민의 자존을 회복하고 경북의 정체성을 바로 잡게 됐다.

경북도청 이전은 지역 발전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기존의 대구, 포항, 구미 중심의 발전축에서 안동권이 추가돼 지역전체의 성장 동력이 훨씬 강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도청이 대구에서 북상하고, 국가의 행정수도가 서울에서 세종시로 남하해서 북위 36°상에 나란히 만나게 된다. 충남도청이 이전한 내포신도시도 동일 위도 상에 위치해 있다.

이는 종전의 남북축 중심에서 탈피해 국토발전의 새로운 동서 성장축을 형성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환동해와 환황해를 잇고 수도권과 남부경제권을 연결하는 '한반도 황금허리 경제권'이 만들어지게 됐다.

또 도청이 들어선 신도시를 북부권에 새로운 성장 축으로 만들어 경북 성장을 견인하고 도내 균형발전을 꾀한다는 구상이다.

이로 인해 경북도청 이전은 동해안권과 남부권, 서부권에도 상당한 시너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더부살이 50년 마감, 제자리 찾은 경북도청

경북도청 이전은 무엇보다 경북도청이 제자리를 찾아간다는데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지방자치 시대에 부합하는 행정 관할구역과 도청소재지가 일치하게 되는 것으로 지방자치제 이념과 논리에 견주어 볼 때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관할구역과 사무소의 일치에 따른 시간적·물질적 그리고 포괄적인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주민들의 맞춤형 서비스를 증대시키면서 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신도청시대는 참으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 그동안 중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북부지역 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도청이전 신도시 건설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생산유발 21조1천799억원, 부가가치 유발 7조7천768억원, 전체적인 고용유발은 13만6천여명으로 추정된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도 역시 도청이전은 경북도의 중심이 더 이상 대구가 아니라는 공간적 자부심과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는 등 도민들의 정체성을 확고히 한다는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

신청사는 신도시 동쪽에 위치해 있다. 25만5천㎡의 부지에 총 사업비 3천875억원을 투입해 지난해 상반기에 완공했다. 신청사는 본청과 도의회, 주민복지관, 다목적공연장 등 건물 4개로 구성됐다.

동쪽에는 지난해 7월 완공된 경북도교육청이 자리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내년 4월 완공을 목표로 경북지방경찰청이 세워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문화를 담은 한옥의 멋스러움과 현대의 첨단 건축기술이 어우러진 독특한 건축미로 소문이 나면서 이미 관광객으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도청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북 북부지역으로 옮겨가면서 도 전체의 균형발전을 위한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며, 국가적으로도 같은 위도상의 세종시와 동서발전축을 형성해 국토의 균형발전에도 상당히 기여할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경북도는 오는 2027년까지 3조원을 들여 도청신도시를 행정·교육·산업이 어우러진 인구 10만명 규모의 명품 행정 도시로 만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 1896~1966까지 대구시 중구 포정동에 위치해 있던 경상감영 전경.


△도내 균형발전 꾀한다

그동안 경북 발전 축은 대구와 구미, 포항 등 동남부권이었다.

경북도는 도청 이전으로 상대적으로 낙후한 북부지역 경제가 살아나 지역간 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파급효과 극대화와 자립기반을 위해 신도시 인근에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한다.

바이오, 의료기기, 신소재, 정보기술 융합 첨단미래산업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북부권은 신도청을 거점으로 백신클러스터, 바이오 그린밸리 등 생명산업을 육성한다. 안동과 예천 유교문화 등 전통문화와 풍부한 관광자원을 활용해 시너지효과도 노린다.

고택, 종택, 실경뮤지컬, 백두대간 협곡열차 등 전통과 자연에 기반을 둔 문화관광산업을 중점 키운다. 서울과 1시간 거리로 수도권 기업 유치도 내심 기대하고 있다.

동해안권은 원자력클러스터, 가속기클러스터, 국가자원개발클러스터 등 첨단과학에너지벨트를 조성하고 영일만항 활성화와 북극항로 개척으로 항만물류 거점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서부권에는 탄소성형 클러스터, 3D융합산업, 웨어러벌 디바이스 등 정보통신기술 융합신산업벨트를 조성한다. 구미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삼성과 협력해 제조업 혁신을 이룰 스마트융복합벨트 육성을 가속화한다.

남부권은 경산에 지식산업밸리와 기계부품단지를 만들고 영천에는 항공산업특화단지 등 창의지식 서비스벨트로 키운다.

도내 지역발전과 낙후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고 '낙후지역 발전 특별회계'를 운영한다.

특히 지금까지 동남권에 머물렀던 광역협력 체계를 도청 이전을 계기로 충청권과 수도권으로까지 확대한다.

동서간 사회간접자본 확충, 첨단산업밸리, 국가산업단지 등을 본격 추진해 '한반도 허리 경제권' 시대를 열어나간다는 복안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도청이전은 단순히 청사만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행정과 문화, 역사, 혼이 함께 가는 것"이라며 "도청을 중심으로 한 신도시가 경북 발전에 또다른 축이 되고 우리나라 경제와 문화 협력의 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승복 기자
양승복 기자 yang@kyongbuk.co.kr

경북도청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