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인승 초소형 전기차는 자동차일까 아닐까. 지금까지 초소형 전기차는 차량으로 분류되지 않아 자동차용 도로를 달릴 수 없었다. 각국이 앞다퉈 첨단 개인 교통수단을 개발하는 상황에서 제도가 현실을 쫓아가지 못한 것이다.

이에 정부는 금년 중 초소형 전기차를 위한 차종 분류 및 안전기준을 제정하고 전기자전거, 전동휠 등 개인형 이동수단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 대용량 전기저장장치(ESS)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 투자비를 회수하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업계의 이런 애로사항을 접한 정부는 공장과 상가 등이 ESS를 사용해서 전기소비를 줄인 경우 요금을 할인해주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1㎿를 기준으로 1년에 1억4천만원의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정부가 새로운 수출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기업의 신산업 투자 지원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규제 시스템 자체를 포지티브 방식에서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꾼다. 기준에 맞는 것만 선별해서 규제를 푸는 방식이 아니라 일단 원칙적으로 모든 규제를 풀되 현실적으로 곤란한 부분만 예외로 둔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민간의 신산업 투자를 촉진할 방침이다.

정부에 따르면 국내 주요 81개 기업은 향후 3년간 신산업 부문 113개 프로젝트에 44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관련 지원 대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120조원의 생산 유발, 41만5천명의 일자리 창출, 650억달러의 수출 증진 효과(산업연구원 분석)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17일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한 제9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새로운 수출 동력 창출을 위한 민간의 신산업 진출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주력 품목 수출의 추가 감소 최소화 △화장품, 의약품, 농수산품 등 유망 품목 수출 증가폭 확대 △내수 기업의 수출기업화 등을 단기 수출 활성화 대책으로 내놨다.

◇ 규제는 모두 개선하는 것이 원칙 = 정부는 기업의 신산업 분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애로 사항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기업은 입지·환경 등 진입규제 39건, 제도 부재로 인한 신제품 출시 지연 15건, 정부지원 부족 51건 등 총 105건의 애로 사항을 제기했다.

정부는 이 가운데 규제 관련 사항 54건(나머지 51건은 정책 지원 사항) 중 47건은 즉시 개선해 나가기로 했고 나머지 7건은 심층 검토하기로 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규제 개선 방식의 변화다. 기업의 신산업 투자와 관련한 규제사항은 원칙적으로 모두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관련 규제 사항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일괄 접수한 뒤 신설되는 '신산업투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개선 작업을 진행한다.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신산업투자위원회는 민간 전문가로만 구성될 것"이라며 "총괄위원회 8명에 5개 분과별로 각 5명씩 배정되는데 공정한 심사를 위해 전문가 풀(pool)단을 구성해 돌아가며 참여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융합 신제품 관련 지원 제도도 마련했다.

새로운 제품에 대한 규제 사항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30일 이내에 적용 여부를 정해주기로 했다. 정부는 이같은 내용을 올해 상반기에 규제프리존 특별법에 반영할 계획이다.

범부처 인증 대표 창구도 개설한다. 오는 3월 국가기술표준원 내에 설립될 '융합신제품적합성인증센터'가 인허가 관련 인증 업무를 주관해 기업의 편의를 돕는다.

신성장동력 분야에 앞으로 2년간 11조5천억원의 정부 연구개발(R&D)비가 지원되며 신산업 전공 학과 개설, 정책 금융 80조원 우선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체계도 마련된다.

◇ 에너지신산업부터 고급소비재까지 지원 = 민간이 투자할 신산업은 크게 5분야로 나뉜다.

81개 기업은 에너지신산업(42개 프로젝트 23조8천억원), 정보기술통신(ICT) 제조 융합(32개 프로젝트 14조2천억원), 바이오헬스(24개 프로젝트 2조6천억원), 신소재(9개 프로젝트 1조8천억원), 고급소비재(6개 프로젝트 1조4천억원) 등에 앞으로 3년간 44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