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사업으로 자립 역량 키우고 임원 중 회장 선출 독립성 확보 외관보다 실질적 통합 치중해야

▲ 이종욱 사회부장
6일 김정행 대한체육회장과 강영중 국민생활체육회장이 스위스 로잔 IOC본부를 방문, 국민체육진흥법상 통합시한인 오는 27일까지 IOC 정관승인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받아내면서 체육단체통합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이에 따라 양단체는 오는 27일까지 통합작업을 완료하고, 오는 4월중 통합총회를 개최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그동안의 통합절차를 살펴보면 그 실효성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다는 데 있다.

통합의 목적이 양 단체간 분리로 인해 이원화돼 있던 체육단체 업무를 일원화시킴으로써 상호보완적 관계를 만들어 스포츠진흥을 꾀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잘 알다시피 우리나라 체육단체는 해당단체의 임원들이 내는 분담금 및 후원금외에 거의 전적으로 정부예산지원을 받는 사실상의 관변단체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다보니 국가단체는 정부로부터, 광역단체는 시·도로부터, 지자체단체는 시·군·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특히 광역 및 지자체단체 거의 전체가 정관상 아예 지자체의 장을 당연직 회장으로 고정시켜 놓았다.

그 결과는 해당 광역단체장이나 지자체장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도 여부에 따라 예산까지 좌지우지되는가 하면, 체육단체가 낙하산인사의 대상이 되는 등 정치적 수확물로 전락했다.

이번 통합과정에서도 체육단체 등이 통합추진에 미적미적거리자 '예산'으로 압박했다는 소문이 흘러나오는 것도 이같은 맥락이다. 이런 체육단체통합으로 어떤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지 의심이 갈 수 밖에 없는 이유다.

하지만 지금도 늦지 않았다.

기왕에 단체통합이 눈앞에 다가온 만큼 지금부터라도 체육단체가 정치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엘리트와 생활스포츠가 통합돼 있는 일본의 경우 지자체체육회는 생활(생애)스포츠를 중심으로, 광역단체체육회부터는 엘리트스포츠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특히 지난 2013년 지자체체육회를 공익법인으로 변경 설립해 지자체에서는 자본금 성격인 출연금만 낸 뒤 일반기업체와 같이 운영되도록 해 놓았다.

또한 해당 지자체장은 대부분 체육회 고문 등으로 앉혀져 있을 뿐이며, 체육회장은 체육회 임원 중 선출토록 하는 등 독립성을 확보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무엇보다 체육회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 각종 스포츠시설 위탁운영 및 각종 스포츠관련 사업을 할 수 있도록 공익법인화시켰으며, 일반법인들과의 경쟁체제를 통해 운영기회를 제공한다.

그 결과 일본 지자체의 각종 스포츠시설들은 365일 생활스포츠 프로그램을 즐기는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아 시설활용도가 한국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것은 물론 체육회가 지자체 예산에 기대지 않는 기반을 마련해 놓았다.

한국이 체육단체 통합과정에서 가장 중요시 해야할 부분이다.

따라서 조직통합에 머물고 있는 현재의 체육단체 통합에서 벗어나 보다 실효성 있는 방안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