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 배불리 먹여 주고 함께 일하고 싶고 어울리는 '삼식이형 리더'가 돼야

영화 '웰컴 투 동막골'에서 인민군 장교가 이장에게 이런 질문을 하는 장면이 있다.

"고함 한번 안 지르고 부락을 통솔할 수 있는 위대한 영도력은 어디에서 나오는 겁니까?"

이장의 대답은 짧지만 핵심을 찌른다.

"그저 뭘 많이 먹여주는 것이지요"

위대한 리더십은 함께 나누어 먹는 밥에서 나온다는 말이 있다. 서양이라고 다르지 않다. 회사나 친구를 뜻하는 'company'도 함께 빵을 먹는 사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한자리에서 함께 식사를 하다보면 식구의 일원이 된 것 같고 또 친구이자 동지가 되는 감정을 갖게 되는 것이다.

옛부터 회식이 이런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엊그저께 박 대통령이 중앙언론사 편집·보도국장들과 오찬 회동을 하는 자리에서 "앞으로 3당 대표들과의 회동을 정례화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모처럼 정치권과 소통을 해보겠다는 의지를 보여 앞으로의 회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왕에 야당대표들과 회동을 하려면 식사를 곁들인 회동을 할 것을 권하고 싶다. 격식을 갖춘 딱딱한 공식적인 자리에서 무거운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식사를 겸하면서 자유스런 분위기속에서 진정성을 담은 대화를 나누다 보면 웬만한 문제들은 해결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요즈음의 리더는 '삼식이'가 돼야 한다는 말이 있다. 시쳇말로 아침, 점심, 저녁 세 끼 모두를 집에서 먹어 아내로부터 구박을 받는 남편을 뜻하는 '삼식이'가 아닌 또 다른 '삼식이'가 돼야 진정한 리더라 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신세대들이 요구하는 오늘날의 '삼식이 리더'는 "배불리 먹여 주고, 배울것이 있어 함께 일하고 싶고, 회식에서 함께 어울리고 싶은 리더"라야 한다는 것이다.

밥맛 나는 리더, 함께 회식하고 싶은 리더 아래서는 어떠한 상황이 닥쳐도 직원들이 단합이 돼 헤쳐 나갈 수가 있다.

국가도 이와 마찬가지다. 대통령이 어려운 일이 있어면 국민들에게 알리고 정치권과 각계의 의견을 들어 함께 풀어나가는 소통의 정치를 펴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가 있는 것이다.

불통의 리더는 매사에 "나처럼 해봐" 라며 숨쉴 틈 없이 아랫사람을 몰아치는 스타일이다.

어떤 조직이든 리더의 불통은 자기중심적인 자세에 자기 확신이 겹칠 때 상대에게는 난공불락의 절벽같은 느낌을 주는 것이다.

중국의 은(殷)나라를 망하게 한 주(紂) 임금은 당대 최고의 똑똑한 인물이었다. 그는 신하들이 무슨 이야기를 하든 논리로 제압해 버렸다. 이러자 신하들은 점차 주눅이 들어 그의 앞에서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주 임금은 어리석어서가 아니라 자신의 똑똑한 것을 과신해 오만해졌고 신하들과 소통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폭군이 됐다. 결국 그는 브레이크 없는 권력이 돼 국가를 망하게 하고 자신도 불속에서 타죽는 형벌을 받았다.

"리더의 지능은 소통지수와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깨달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