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터 눈과 귀 동원해 국회의원 공약이행 지켜보고 4년 후 표로 심판해야

아직도 시민들이 모이면 4·13총선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왈가왈부한다. 그만큼 어떤이에게는 신선함을, 또다른 누구에겐 충격으로 다가왔을 테다.

대구 시민들이 지난 총선에서 대형사고(?)를 쳤다. 더불어 민주당 김부겸 후보를 당선시켰다. 실로 30여 년 만의 일이다. 게다가 얼마 전까지 야당이었던 무소속 홍의락 후보를 포함 무소속 후보를 3명이나 선택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야권에게 대구는 난공불락의 성이었다. 1988년 소선거구제로 첫 총선이 실시된 이래 한 번도 제1야당 후보가 당선된 적이 없었다. 2005년 10월 대구 동구을 재선거에서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이 열린우리당 간판으로 44%를 득표하고 패한 것이 최고 기록이었다. 당시 이강철 후보는 대구 지역에서 무려 4전5기에 나섰음에도 끝내 승리의 깃발을 흔들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는 민심이 달랐다.

기득권을 누리던 여당에는 엘로우 카드를 꺼내 든 반면 야당과 무소속, 그리고 정치 지망생들에게 희망을 줬다. 여당의 깃발만 꽂아도 된다는 지역이었던 대구가 사실상 새누리당에게 참패토록 하는 빌미를 제공했다. 공천 파동의 진원지 역할을 하면서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그 여파가 수도권으로 확산되면서 과반 의석도 차지하지 못하는 굴욕을 당한 것이다.

집권 여당에겐 조금 미안하지만 이번 선거 결과는 긍정적인 면이 훨씬 많다. 외지에서 대구를 보는 시각도 달라졌다. 새누리 깃발만 꽂으면 된다는 보수 골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무소속을 비롯한 야당은 물론, 정치 지망생에게도 새누리당이 아니라도 하면 된다는 꿈과 희망을 안겨줬다.

대구시민들에게 4·13총선은 채찍이었고 희망과 기회를 줬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진짜 심판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소속은 물론 야당 국회의원에게도 표를 몰아줬다. 한마디로 천지개벽의 사건이다. 그만큼 이들에게 거는 기대도 크다. 그러나 이번 선거과정에서 지역 사회를 위한 정책대결 같은 건 찾아볼 수 없었던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경제를 심판해 달라고만 했다. 어떤 경제정책을 내놓았는지 도무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새누리당도 마찬가지다. 시민의 살림살이를 걱정하는 경제공약은 쟁점으로 부각조차 되지 않았다. 선거내내 친박, 비박으로 시끄럽더니, 선거 끝나고도 한가지다.

시계를 조금만 되돌려보자. 2012년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후보들은 특권을 내려놓겠다, 허리굽혀 외쳤다. 그렇지만 막상 선거가 끝나자 공약 지키기는 뒷전인채 슬쩍 국회의원 연금법을 통과시켜 자신들의 사리사욕만 채웠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번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10대 기업 대구 유치를 지원하겠다고 했고 더블어 민주당은 먹거리를 책임지겠다고 공약했다. 대구시민들은 이제부터 눈과 귀를 동원해 국회의원들이 약속을 어떻게 지키는지 눈을 부릅뜨고 귀를 쫑긋 세우리라. 그 결과는 4년후에 표로 심판할 것이다.

엊그제께 대구시와 비례대표를 포함한 여·야, 무소속 국회의원 당선인 13명이 대구시청에서 대구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 시민들의 기대가 크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