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이번에 마련한 감염병 관리대책은 앞으로 실효성이 있도록 얼마나 적극적으로 실천하느냐가 더 관건이다. 지난해 발생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등 감염병으로 인한 불행한 사태를 두 번 다시 겪지 않도록 하기위해서다.

도는 감염병 관리 대책으로 질병관리본부와 도, 시군 보건소, 도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초동대응을 위한 상시 24시간 비상연락체계를 운영, 365일 감염병감시체계에 돌입했다고 한다. 최일선에서 근무하는 시군보건소 담당자들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및 위기 대응능력 향상을 배양하고 체계적 감염병관리를 위한 역학조사관 2명의 신규 증원을 확보했다. 또 공공병원의 음압시설 확충에 21억원을 투입 할 계획이다.

감염병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위해서는 당국의 물 샐 틈 없는 방역체계가 필요하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 때는 방역에 앞장서야 할 대구시 공무원이 적절한 방역 활동은 커녕, 메르스 환자로서 기본 행동 의무도 갖추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민들에게 충격을 준바 있다. 동 주민센터 직원은 당시 메르스 진원지 서울삼성병원에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모친에게 다녀온 이후 직원들과 회식을 하는 등 많은 사람들을 접촉했다. 일반주민이 아니라 공무원이 신고 조차 안했다면 대구시 공무원의 근무기강 해이가 어느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만 1년을 넘겼지만 메르스 사태는 당시 우리 국민을 삽시간에 공포로 몰아넣었다. 너무도 부실한 초기 대응 탓에 38명이 목숨을 잃었다. 메르스가 확산된 주요 원인은 의료 종사자의 메르스에 대한 인식 부족, 병원에서의 전염 예방조치 미흡, 값싼 의료수가로 여러 병원을 찾아다니는 환자의 행동, 감염된 메르스 환자를 환자 가족이 직접 간호하고 문병객도 많은 점도 메르스를 확산시킨 요인이다. 메르스 유행은 우리나라 보건의료 체계가 얼마나 취약한지 한눈에 보여 줬다. 방역 시스템의 부끄러운 민낯을 드러냈고 일개 감염병에 온 나라가 일시에 기능이 전면 중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모든 도민이 건강할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 도청을 비롯한 공공과 민간 부문이 밀착 연대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보건의료 체제를 이젠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 종합대책이 실효성이 있기 위해서는 우리 보건의 허점을 정확히 파악해 개선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