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가 증상 느낄땐 말기 상태 시신경 손상 등 진행 형태 다양해 안압·시야검사 등 정기검진 필수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연령관련 황반변성과 함께 실명의 3대 원인으로 꼽히는 녹내장 환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녹내장을 정의하자면 시신경유두부위에서 점차적으로 신경이 사멸되면서 특징적인 시야 변화를 가져오는 신경병증이라고 할 수 있으며 40대 이상에 주로 호발하는 질병이다. 그 원인에는 여러 가지 위험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안압이고, 연령, 혈류이상, 대사이상(당뇨·고혈압·고지혈증 등), 가족력, 유전적 요인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충혈을 없애기 위해서나 안내염증 조절을 위해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안약을 쓰는 경우에도 녹내장이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근시가 녹내장의 위험요인이라는 발표가 많이 되고 있다. 특히 젊은층에서 굴절교정수술(라식·안내렌즈삽입술 등)의 사전 검사 중 녹내장이 발견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근시 특히 고도근시의 경우는 다른 위험요인이 없고 젊은 성인이라도 정기검진이 필요함을 유념해야 하겠다.

녹내장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환자가 증상을 느껴 병원에 내원하였을 때는 이미 말기 상태로 시야가 상당히 좁아져 있고 시신경 위축도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정기적인 안과 검사가 꼭 필요한 이유다. 녹내장은 예전에는 주로 안압을 통한 검진으로 발견했다. 하지만 안압이 정상수준이어도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안압 검사 만으로는 녹내장 여부를 확인 할 수가 없고, 망막신경섬유층과 시신경을 관찰할 수 있는 안저검사 및 빛간섭광착촬영검사, 그리고 시야의 좁아짐을 확인할 수 있는 시야검사 등이 필요하다.

망막신경섬유층의 손상은 사진 촬영을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망막신경섬유층의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그 층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므로 그 두께 측정을 통해서도 진단이 가능하다. 두께의 측정을 위해서는 OCT나 GDx라고 불리우는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시신경의 이상 여부는 검안경이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의사가 직접 관찰해 구형의 검사통에 비치는 불빛자극을 얼마나 잘 감지해 내는지를 검사함으로써 시야결손의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그 외의 검사로는 눈 안에서 생성된 방수가 빠져나가는 통로인 전방각을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는전방각 검사와 보다 높은 해상도로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부위까지 관찰이 가능한 전안부 OCT 검사등이 있다.

녹내장은 어느 순간에 발생하는 병이 아니고 손상이 서서히 지속적으로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초기에는 녹내장이라고 확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여러 가지 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종합함으로써 녹내장의 존재 여부를 가리게 되며, 만일 여러 가지 검사를 통해서도 시신경 손상이 정확하게 판단되지 않는 경우는 우선 녹내장의증이라는 진단을 붙이고 추후 지속적인 검사를 통해 시신경의 손상이 추가로 일어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녹내장을 최종 확진하게 된다. 또 녹내장의 존재가 비교적 뚜렷한 경우라 하더라도 위에 기술한 여러 가지 검사를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추후 녹내장이 진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 한 가지 검사 결과만으로는 녹내장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진행의 판단이 어렵게 되는 이유는 녹내장이 진행할 때 경우에 따라서 시신경이나 망막신경섬유층의 결손부위가 시야보다 먼저 나빠지는 수도 있고, 반대로 시신경의 모양은 눈에 띄게 변하지 않으나 시야의 결손이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녹내장의 진행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