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등 참배객 식별 떠나 조국위해 목숨 바친 이 기리는 참배의 통일 이뤄지길 기원

오는 6일은 61주기 현충일이다. 6월은 6·25동란도 포함돼 있는 호국보훈의 달이다.

나라와 겨레를 위해 자신들의 목숨을 지푸라기처럼 여긴 선열들을 기리며 국가의 안위를 위해 우리 삶을 새롭게 가다듬는 계기로 삼는 기간이 6월이다. 하여 흥겨운 대중가요에 감염된 우리 입을 묵직한 현충일 노래로 가셔내 볼 필요가 있다. '겨레와 나라 위해 목숨을 바치니 그 정성 영원히 조국을 지키네 조국의 산하여 용사를 잠재우소서 충혼은 영원히 겨레 가슴에…' 선열들의 죽음은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니었기에 이들이 잠든 국가묘역(호국원)의 참배객들은 숙연히 옷깃을 여미고 국가를 보위하겠다는 각오를 다진다.

그래서 정치지도자들은 어떤 전환점에서 거의가 국립현충원을 찾아 분향을 하고 결의를 세운다. 이에 대해 관계자와 다른 참배자들은 당연하고도 바람직한 자세로 여겨 어떤 비난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소가 광주 5·18묘역이 되면 사정은 달라진다. '광주민주화묘역'이 국격을 갖춘 묘역이라면 국립현충원과 같이 행사들이 거행돼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이곳에서는 묘하게도 참배객들과 관계자들은 참석자들에게 시비를 걸고 내쫓기까지 했다. 나아가 여기서는 꼭 '임을 위한 행진곡'만을 행사지정곡으로 우긴다. 그 내용은 이렇다.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동지는 간데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 이상하게도 이 노래에 '임'은 '동지'로만 표현되고 나타나지 않는다.

더 이상한 것은 정부의 한 부처에서 이 노래 부르기에 딴죽을 걸었다 한다. 지난 5·18기념식을 기해 '임을 위한 행진곡'의 창법을 두고 급기야 여·야가 맞섰다. 야당은 제창을 하자고 하고 여당은 합창을 제안했다. 제창은 전참석자가 한 목소리로 그 노래를 부르는 것이고, 합창은 부르든가 말든가 개인의 자유에 맡기자는 것이다. 깊은 속뜻은, 이 기념식의 노래는 다른 기념가로 대치될 수 없다는 것이 야당의 주장이고, 국가차원의 기념식에서 이 노래를 부르면 안 된다는 것이 여당의 의도이다. 그날 참석자들이 실제로 선택한 행동은 중구난방이었다. 여당 국회의원들이 포함된 상당수가 그 노래를 부르는가 하면, 국무총리와 가사를 모르는 상당수의 야당의원들은 입을 다물었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내용상 그 자체로 문제될 것이 없다. 사실 프랑스를 비롯한 상당수의 국가 가사에는 이를 능가하는 선혈이 낭자한 내용들도 들어있다. 이 '행진곡' 가창의 반대자들은 광주 민중 항쟁의 '폭도'를 떠올리며 자신의 입장을 고수할지 모른다. 반대로 그 '폭도'를 생각하며 '행진곡'을 반드시 제창해야 한다는 유가족이나 야당 측 인사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추념해야 할 인물들은 그런 어떤 진영의 '임들'이 아니라, 순수하게 국가와 겨레를 위해 희생된 중립적이고 초월적 '임들'이다. 광주가 참배객을 식별하는 기준을 가지는 한, 그 '임들'은 우리가 추념할 '임들'이 아니다. 그와 동시에 광주항쟁기념묘역은 '임들'이 실종되는 무의미한 기념지가 된다. 호국보훈의 달에 전국의 충혼묘역에서 모든 사람이 같은 마음을 갖는 참배의 통일이 이뤄지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아침광장'은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