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16일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노후산단 재생사업 기본협약'을 체결해 서대구, 제3, 염색, 성서1·2차 등 4개 재생산업단지 재생에 일보 진전이 예상된다. 서대구산단과 제3산단은 금호강과 낙동강에 인접해 대구 산업벨트에 중요한 지역이다.

시와 토지주택공사는 앞으로 △재생계획과 기반시설 설치계획 자문 △국공유지, 휴폐업부지, 유휴부지 등을 활용해 중소기업의 이전수요 대응 △근로환경개선을 위한 선도사업에 참여하기로 했다. 서대구산단과 제3산단은 2013년 재생지구로 지정돼 현재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토지보상이 진행 중이다. 성서 1·2차산업단지는 재생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으며, 염색산업단지는 재생계획 수립 용역을 준비 중에 있다.

전국 대부분의 도시들이 지방산업단지의 성공으로 지방도시의 경쟁력을 높이려 한다. 대구뿐 아니라 포항·구미 등 중소도시의 공단 노후화도 문제다. 구미는 입주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도시 전체의 활력이 현저히 떨어진 상태다, 지역의 산업도시들이 수도권과의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지역의 노후공단의 회생은 지방이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가 달린 것이다. 아울러 대한민국이 균형발전을 하느냐 안하느냐의 문제다. 전문가들은 "서울과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각해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산업 공동화, 인재 공동화, 인구 공동화 등 총체적 위기로 내생적 발전의 기반을 갖추지 못한 상태"라고 지적한다.

포항·구미 등 대구와 연계하며 발전해 온 중소도시들의 산업단지(공단)도 과거보다 활력이 떨어진 상태다. 산단이 활력 있게 운영되지 않는다면 지역 경제의 경쟁력은 요원하다. 때문에 산업단지는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이다. 당국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은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경제를 활성화하는 도시 재생을 위한 오랜 숙원사업이기 때문이다.

산단의 운영뿐만 아니라 산단의 노후상태와 행정적인 지원 부족도 해결해야 한다. 지역의 대표적인 산단인 대구 3공단과 구미산단은 각종 인프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산단 주변이 도시화되면서 공장 노후화 및 휴폐업 공장이 늘고 있는 실정에 대한 구체적인 입법 지원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