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인구 감소로 생산성 저하
-소비감소 겹치면서 미래 대응전략 세워야

우리나라 철강산업도 저출산·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생산인구 및 소비감소가 이뤄지는 인구절벽현상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포스코경영연구소 정철호 수석연구원은 지난 1일 ‘철강산업에 다가오는 인구절벽 충격’이라는 제목의 리포트에서 한국은 2017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전환돼 이후 더욱 확대돼 저성장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독일·영국·프랑스 등 선진국들의 경험을 볼 때 인구절벽 현상이 나타날 경우 제조업과 건설업의 비중은 위축되는 반면 서비스업 비중은 높아지는 공통된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독일의 경우 철강 및 비철금속산업 근로자의 35.3%가 50세 이상이며, 고령 근로자들의 과중한 업무부담과 이에 따른 안전·건강문제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일본의 경우 생산가능인구 정점(1995년)으로부터 20년 뒤 철강소비량이 81%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자동차·건설 등 철강수요산업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세계 철강 생산 및 수요의 50%를 차지하는 철강대국 중국이 지난 2015년을 기점으로 인구절벽현상이 나타나기 시작, 세계 철강 생산·소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정 연구원은 특히 중국의 인구절벽이 심화될 경우 철강수요량이 최대 30%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중국의 2013년도 철강수요가 7억6천600만t으로 그동안 선진국의 경험처럼 수요량이 20%에서 30%로 줄어들 경우 세계 철강업계 전체가 또다른 혼돈에 빠질 우려가 높다.

즉 철강소비량이 2013년 기준 30%늘 줄어들 경우 무려 2억2천여만t이나 감소하는 것으로 이는 중국이 올들어 철강과인 생산해소를 위해 시행에 들어간 생산설비 1억5천만t철거계획을 훨씬 앞지르는 것이어서 생산설비 폐기효과가 큰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국내 철강업계는 이같은 인구절벽에 취약성이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대비책 마련은 부진하다면 대안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정 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업 장기 생존플랜 수립 △로봇바이오 등 미래 신사업 기회에 대한 검토 △생산인구 고령화에 대비한 안전문제 강화△베이비 부머 퇴직에 따른 노하우 전수 △인더스트리4.0 확대적용 △재택근무제와 같은 정책도입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