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교육청의 고졸 채용이 저조하다고 한다. 교육부 ‘시·도 교육청별 고졸 채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전국시도교육청 고졸 채용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1.7%, 2013년 1.9% 2014년 1.5% 2015년 2%로 비율은 해마다 조금씩 나아졌지만, 너무나 미미했다. 지난해 전국 시도교육청의 고졸 채용은 평균 2%에 그쳤다. 특히 대구·경북 교육청의 고졸 졸업자 채용이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교육부는 2014년 10월에 고졸 취업 확산 및 능력 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15개 관련 부처 공동으로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공공부문에서 솔선하여 고졸 적합 직무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고졸자 공무원 채용확대에 노력한다고 발표 했다. 그러나 실제 조사 결과를 보면 대구의 경우 2013년 6명을 선발 한 이후 2014년, 2015년 2년 연속 단 한 명의 고졸자도 채용하지 않았다. 경북은 2013년 6명(5.3%), 2014년 3명(1.9%), 2015년 8명(1.6%)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었다. 특히 대구와 경북은 지난해 전국 평균 2%에 비해 대구는 0%로, 경북은 1.6%로 전국 최하 수준이다. 우리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도 학력(學歷)이 과도하게 지배하는 사회가 아닌가하는 평판이 통계 사실로 드러났다.

고졸 채용 확대는 학력에 따른 차별과 학벌 지상주의를 타파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공공기관 채용의 20% 이상을 고졸자로 뽑고 비중을 차차 늘려 2016년까지 40%를 채우겠다고 했다. 박근혜 정부도 고졸자가 공무원으로 채용되거나 공공기관·공기업에 들어갈 수 있는 직무와 직렬을 확대하는 내용의 고졸취업 활성화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고졸 채용은 학력이나 스펙이 아니라 실력으로 인정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바른 방향이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있었다. 대학입시에만 매달리는 비정상적인 교육열과 학력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인한 부작용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를 받았다.

고졸 채용은 중점을 둬서 일관성 있게 이어가는 것이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길이다. 물론 한 발짝 더 나아가 고졸 취업자들이 조직에서 능력을 발휘하고 실력으로 평가받아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교육청 등 공공기관들이 고졸 채용을 늘려 국가 고용정책에 솔선수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고졸 채용 확대가 제자리를 잡을 수 있게 당국이 의지를 갖고 추진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주요 금융기관 등 공공부문이나 반관 반민 기관들은 물론 민간기업들도 고졸 채용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