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철거 울릉도 해저 지진계, 9년간 고장 22회·철거일까지 총 700일이상 작동 중지
사업 제안요청서 및 설계보고서와 상이하게 부실시공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지진을 감지할 수 있는 지진계 확충이 시급한 가운데 국내 유일의 울릉도 해저 지진계가 잦은 고장으로 철거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 철거된 울릉도 해저지진계가 수차례 고장으로 총 운영기간 중 4분의 1이 넘는 기간 동안 작동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기존 계획과 달리 부실시공된 것이 원인이었다.

국민의당 김삼화 의원실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단 한 대 있었던 울릉도 해저지진계가 9년간 총 22회의 고장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수신파형 이상’과 같은 간단한 장애도 있었으나 어선에 의해 해저케이블이 끊어지는 일도 4건이나 발생했다.

특히 해저케이블 단절로 인해 해저지진계는 2010년에는 328일, 2013~14년에는 229일 동안이나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했다. 지진계 설치 완료인 2006년 12월부터 철거가 시작된 2015년 7월까지 운영기간은 총 3천115일이었으나, 고장으로 작동 중지된 기간은 총 787일이었다. 전체 운영기간의 25%에 이르는 기간이다.

이로 인해 지진계 보험료와 유지보수 비용은 25억 원 이상 투입됐다. 설치비용인 21억 원을 넘는 금액이 들어간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고장이 단순 사고가 아니라, 기존의 계획을 제대로 따르지 않은 ‘부실시공’ 때문에 일어났다는 점이다.

기상청이 해저지진계를 발주했을 당시의 제안요청서에는 ‘설치된 해저케이블은 해안가의 어업활동 등에 의해 훼손, 단선, 유실되지 않아야 한다’고 적혀있다. 어선에 의한 피해를 이미 예측하고, 이에 대비해 설치했어야 했던 것이다. 또한 비용과 시간을 이유로 들어, 계획과 다르게 설비를 설치하는 바람에 안전성을 놓쳤다. 2007년 감사원 감사에서는 ‘이중강화 케이블’을 사용하기로 했던 설계보고서와 달리, 실제로는 ‘단강화케이블’이 설치됐다고 지적받은 것이다.

당시 해저지진계 설치를 맡았던 업체의 주업종은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이다. 전문 시공업체가 아니었던 것이다. 시공과 관리감독 능력에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김삼화 의원은 이와 관련, “기상청은 과거 ‘해저지진계 3개 확충 계획’을 세우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왔으나, 최근 ‘해양지진계가 굳이 필요하지 않다’고 돌변했다. 말썽 많은 해저지진계를 철거하면서 이를 숨기기 위해 입장을 바꾼 것 아닌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이어 “2006년 이후 우리나라 남동해 지역에서만 규모 2.0 이상 지진이 30회 이상 발생하는 등 해안 지역의 지진 역시 제대로 된 관측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기상청은 철거된 해저지진계의 부실시공 여부를 조사한 뒤, 향후 해저지진계 설치의 필요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