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2일 5.8규모의 경주 지진이 발생한 활성단층이 어디인지를 놓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려 한반도 내 활성단층 지도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월성과 고리 등 한반도 동남해안에 원전이 집중돼 있어 지진으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해 이 지역을 통과하는 활성단층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활성단층의 실체를 규명하는 것이 원자력발전소 안전 문제 등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경주 지진의 경우 정부는 진앙을 양산단층으로 꼽았지만, 학계 일각에선 양산단층으로 아직 단정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한반도 활성단층의 실체를 면밀히 파악해 일반에 공개하는 일이 시급하다. 우리가 사는 땅 밑이 어떤 상태인지도 모른 채 지진방재 대책이 제대로 나오기는 어렵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경주지진이 양산단층 서쪽에 있는 모량 단층에서 지진이 났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등 일부 전문가는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단층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등 확실한 진원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민안전처는 경주 5.8 규모 지진을 계기로 내년부터 25년에 걸쳐 활성단층 지도를 제작하겠다는 계획을 최근 발표한 데 이어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국정감사에서 “연말까지 원자력발전소 주변 단층 재조사 계획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활성단층이란 지각 활동이 활발해 지진이 발생했거나 일어날 가능성이 큰 곳을 말한다.

한국 원자력산업계는 미국의 규정을 따라 ‘3만5천년 내 1차례’ 혹은 ‘50만년 내 2차례’ 지층이동이 발견되는 단층을 활성단층(활동성 단층)으로 본다.

일본은 40만년 이내 한 번이라도 움직인 흔적이 있는 단층을 활성단층으로 규정하는데, 현재까지 2천여개의 활성단층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의 활성단층 지도는 2011년 3월 후쿠시마 지진을 계기로 발간됐으며, 지질학회와 공동조사를 통해 매년 업데이트하고 있다.

활성단층 지도와 지하수 조사 등의 지질 자료를 기반으로 올해부터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선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부지 선정을 위해 우선 활성단층과 단층 주변 ‘프랙처 존’(단층에 의해 깨진 지대)과 ‘데미지 존’(단층에 의해 손상된 지대)은 처분장 부지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후보지를 추려 나가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일본은 후쿠시마 대지진 이후 55기의 원전 가운데 노후화된 10기의 원전에 대해 폐로 절차에 들어갔으며, 30여기의 원전에 대해서는 안전기준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활성단층을 규정하는 기준도 후쿠시마 사고 이후로 10만년 이내 한 차례 변위가 있는 단층에서 40만년 이내 한차례 움직인 단층으로 강화했다.

스웨덴도 2011년부터 고준위 방폐장 건설을 위해 활성단층과 지하수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마치고, 정부의 최종 결정만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