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노후 산단 재생사업 시범지구로 선정돼 2013년 재생사업지구로 지정된 서대구 산단이 첨단산업단지로 탈바꿈된다. 이 사업은 2021년까지 국비 및 지방비 1천158억 원을 투입한다. 국토교통부는 서대구 산단 재생사업 활성화 계획을 심의에서 통과시키고, 각종 인센티브와 기반시설 설치 등에 우선 국고를 지원할 예정이다.

대구 서구 이현동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 비축창고부지 1만4천813㎡에 산단을 조성, 산업시설 부지 5천433㎡에 지식산업센터를 건설하고, 나머지 부지는 민자를 유치해 연구, 교육, 복지시설 등 복합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대구 서구 중리동·이현동 일대 2천662㎡(약 80만5천 평)의 공업지역인 서대구산업단지 재생사업이 완료되면 스마트 자동차, 신소재 섬유, 차세대 기계금속, 바이오 제약·의료기기 업종 등 부가가치가 높은 도시형 산업으로 전환돼 대구의 산업 경쟁력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에는 서대구 외에도 제3, 염색, 성서1·2차 등 4개 재생산업단지가 재생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서대구 산단과 제3 산단은 금호강과 낙동강에 인접해 대구 산업 벨트에 중요한 지역이다. 그동안 한국 제3의 도시의 위치를 인천에 빼앗긴 대구는 경제의 낙후성 회복이 시급한 과제였다. 2014년 기준 1인당 대구 지역 총생산은 1,894만 원으로 16개 시도 중 최하위였다. 1인당 지역 총소비도 2,288만 원으로 전북(2,236만 원), 광주(2,377만 원)에 이어 하위 세 번째를 기록했다. 주변의 부산, 울산, 경남의 중소도시보다 경제적으로 못하다고 한다. 대구시민의 상대적 박탈감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대구뿐 아니라 포항·구미 등 중소도시의 공단 노후화도 문제다. 지역의 산업도시들이 수도권과의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다. 이 지방산업단지의 성공은 이들 도시의 경쟁력과 비례한다. 사실 지역의 노후공단 회생은 지방의 경제가 사느냐 죽느냐 하는 문제가 달린 것이다. 아울러 대한민국이 균형발전을 하느냐, 하지 못하느냐의 문제도 연관이 있다.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상대적으로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산업 공동화, 인재 공동화, 인구 공동화 등 총체적 위기다.

산업단지는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이다. 당국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지방은 내생적 발전의 기반은 산업단지가 얼마나 첨단적 성격인가로 직결된다.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은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경제를 활성화하는 첩경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