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60ㆍ여ㆍ최서원으로 개명)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분노를 참다못한 대구시민들이 시내로 몰려나왔다. 시민 약 3천명은 5일 대구 2·28기념공원에서 ‘정권퇴진, 대구 1차 시국대회’를 열었다. 이날 서울에서도 시민 수만 명이 분노하며 광화문 앞으로 몰려나왔다. 무려 20만명(주최 측 추산·경찰 추산은 5만 명)이 나온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2차 주말 도심 촛불집회다. 이들은 “못 참겠다”, “갈아 엎자”, “박근혜 퇴진” 등의 구호를 외쳤다.

국민의 이번 분노는 단순한 권력 스캔들 때문에 발생한 것인가. 박근혜 정부가 말로는 민생을 챙긴다고 해놓고 오히려 서민경제는 더 나빠졌다고 본다. 민생고에 대한 누적돼온 불만들이 최순실 게이트를 계기로 터져 나온 거다. 더 팍팍해진 우리 한국 국민의 삶이 최순실 사태에 불을 댕긴 것이라는 분석을 해본다.

문제는 정국이 수습되어야 경제난도 정상화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가 정치리더십을 회복하려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얻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정권의 대응이 실효성 없는 대책이다. 시간만 벌고 싶다는 자포자기 수준이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대로라면 박근혜 대통령은 퇴진위기에 몰린다. 누군가 대신 책임져줘야 한다. 국민에게 만악의 근원이 된 최순실이 아니라 이를 수수방관하고 눈감아준 친박계가 이 문제를 푸는 열쇠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친박(박근혜)계’인사들은 오히려 세간의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 박근혜 정권에서 부귀영화를 누린 박근혜 정권의 조연자들이 ‘내 탓이오’ 가 아니라 박 대통령 탓으로 돌리길 바쁘다. “대통령의 지시로 했을 뿐이다”(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 “청와대 정무수석 11개월 동안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를 하지 않았다”(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장세동 전 안전기획부장이 전두환이 나라의 원흉으로 지목되자 자신이 한 것이라며 감방을 자처한 것이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그 내용을 떠나 의리와 충성의 표본이 됐다. 친박을 자처하며 장관, 국회의원이 되고 박근혜 정권의 단물을 빨아먹은 이들은 어디에 갔는가. 자칭 친박 인사들이 야비하게도 최순실 정국의 와중에 뒤로 숨어 있어서는 아니 된다. 대구·경북의 A모 의원이 대표적이다.

1905년 을사늑약, 1910년 경술국치가 강제로 체결되면서 우국지사들이 앞다퉈 자결했다. 이분들을 자정순국자(自靖殉國者)라 부르는데, 가장 많은 자정순국자가 나온 곳이 경상북도다. 이웃 일본 전국시대 사무라이들은 주군이 패하면 참모들이 자결한다. 왜 친박계 인사 중에는 책임을 지겠다는 정치인이 없는가. 지역 친박계 정치인들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