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세기 무렵까지 세계 문명은 이슬람권이 주도했다. 그들은 정복지의 문화와 문명을 열심히 받아들여 고도로 승화시켰다. 그러나 당시 프랑스, 영국 등 서유럽 국가들은 후진국에 불과했다. 허구한 날 영토분쟁만 일삼으니 ‘무기’는 발달했지만 문화는 미개한 수준이었다. 이때 “우리끼리 싸울 것이 아니다, 적은 외부에 있다”해서 탄생한 것이 ‘십자군’이고, 예루살렘을 점거하고 있는 이슬람과 유대를 적으로 삼았다.

십자군은 이슬람 정벌 때 처음 ‘커피’를 맛보았다. 그 향기와 맛에 반했다. 그러나 십자군은 커피를 마시지 못했다. 교단으로부터 ‘이교도가 마시는 사탄의 물’이라는 ‘유권해석’이 내려졌기 때문이다.

14세기가 되자 상황은 크게 변했다. 이탈리아 베네치아, 피렌체, 밀라노 등에서 르네상스가 일어났다. 이 ‘문화의 자유도시’에는 수많은 학자 예술가가 모여들었고, 영주들과 부자들은 이들을 지원하는 일에 큰 보람을 느꼈다. 종교적 속박과 권위에서 벗어나 그리스시대의 ‘인간’으로 돌아가자는 르네상스 운동은 커피에 씌워졌던 ‘금기’도 벗겨버렸다.

“시인에게는 영감을, 음악가에는 악상을, 철학자에는 진리를, 정치가에게는 평등을 전하는 커피”라면서 ‘자유도시 문화인’들은 커피를 입에 달고 살았다. 마침내 커피는 ‘자유의 상징’이 됐다. 당시 종교세력가들은 ‘커피 금지’를 위해 무한한 노력을 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자, 교황 클레멘트 8세에 도움을 청했다.

교황은 이 검은 음료가 과연 ‘사탄의 물’인지 알아보기 위해 직접 마셔보다가 그만 그 향기와 맛에 ‘정복’되고 말았다. 교황은 묘안을 냈다. “아무리 이교도의 음료라 할지라도, 세례를 받으면 우리 기독교 것이 되는 법. 내가 지금 세례를 내리니 앞으로 우리의 커피로 여기라”

이런 곡절을 거쳐 온 커피가 이젠 우리나라에서도 밥보다 더 많이 즐기게 됐다. 요즘은 상가가 들어서면 가장 먼저 생기는 것이 커피숍이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커피전문점 수는 4만9천600여 곳, 올해는 5만 개를 훌쩍 넘길 것이란 전망이다. 시장규모도 4조 원에 이른다. ‘밥보다 커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지경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