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발의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야권과 여당 내 탄핵 찬성파들은 24일 가결 정족수인 200명을 확보하는 데 힘을 집중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가 이날 국회 정책조정회의에서 “늦어도 12월 9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탄핵안이 표결되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 탄핵 찬성파들은 찬성표 확보에 몰두하는 상황이다. 민주당과 국민의당 탄핵준비단은 이르면 이달 말께 정의당과 공동으로 탄핵소추안을 발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권 내에서도 탄핵안에 앞장서겠다고 공언한 김무성 전 대표를 중심으로 찬성파들의 세 불리기가 분주하게 이어졌다. 집권 여당에서 사상 유례없는 일이다. 국회 재적의원(300명)의 절반이 넘는 여야 의원 158명은 24일 ‘박근혜 대통령의 질서있는 퇴진과 국정 공백 해소를 위한 촉구 결의안’을 제출했다.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발의되면 2004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 발의 후 12년 만이다. 탄핵안 가결 정족수 200명에는 야 3당과 무소속 의원을 합친 야권 의원 172명(새누리당 탈당 김용태 의원 포함)이 모두 찬성표를 던진다 해도 새누리당 의원 30명 가까이 되는 의원이 필요하다. 새누리당으로서는 탄핵안이 통과되면 친박과 비박 간 갈등이 분당 사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어려운 선택을 앞두고 있다.

이번 주말 촛불집회가 예고돼 있고,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처리와 특검 임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첫 기관보고가 집중돼 있다. 문제는 국정 공백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서 이 나라에 위기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는 데 있다. 대한민국 정부와 정치실패의 현장이다.

국회와 정당권은 작금의 최순실 국정농단을 수습하기 위해 대통령 탄핵 등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문제는 탄핵으로 국력 소모가 여간 아니다. 지금으로선 탄핵 정국이 얼마나 갈지 섣불리 가늠하기 어렵다. 여러 불확실성 때문에 국정 혼란이 장기화할 수도 있다.

국정 공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국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야권 지도부는 탄핵에 집중하기 위해서 ‘국회 추천 총리’ 논의를 접어 아쉽다. 하지만 민생은 제대로 굴러가야 한다. 불확실성을 줄여 국민의 불안감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경제가 어려운 상황이고 북한과 중국 미국의 움직임도 살펴야 한다. 국회와 정당은 탄핵에 앞서 국정 공백을 최소화할 대안을 먼저 마련하는 게 옳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