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규_대구교대교수2014.jpg
▲ 양선규 대구교대 교수
가히 촛불의 계절입니다. 누가 “촛불은 바람이 불면 꺼진다”라고 초를 치니까 바람이 불어도 꺼지지 않는 LED 촛불이 불티나게 팔렸답니다. 아마 그걸 만들어 팔던 사람은 돈벼락을 맞았을 겁니다. 잘못되어도 너무 잘못된 것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어서 국민이 직접 거리로 나섰습니다. 손에 손에 촛불을 들고요. 조명용도 아니고 난방용도 아닌 촛불은 그러니까 우리 시대의 집단 무의식이 만들어낸 상징입니다. 그 상징이 외부의 바람, 외풍에 날려 사라질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면 큰 착각입니다. 무지의 소치이지요. 이미 상징이 된 촛불은 외부의 어떤 강제력으로도 끌 수가 없습니다. 그것이 수명을 다하려면 세상이 밝아지는 수밖에 없습니다. 세상을 덮고 있는 모든 어둠이 걷히면 촛불은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제가 본 촛불 중에서는 요즘의 그것이 가장 감동적입니다. 이제 시작에 불과합니다만 앞으로 우리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미칠 영향이 아주 클 것으로 예견되는 역사적인 촛불의 행진입니다. 그동안 쌓여온 모든 적폐(積弊)들을 일소할 수 있는 역사의 힘을 느낍니다. 한 시대의 종말을 기어이 보고 말 것이라는 예감이 듭니다.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촛불의 의미가 그런 생각을 가능케 합니다. “바슐라르의 지적처럼 불꽃은 다른 어떤 사물들보다 많은 상상을 강요한다. 자기의 몸을 녹이면서 타오르는 촛불은 희생과 정화의 이미지를 가진다. 먼저 내적 불순물을 제거한다는 측면을 주목해야 한다. 고요하고 깊은 자기 성찰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불의와 부정을 태운다는 측면이 있다. 이와 같이 촛불은 존재론적이고 사회적인 변증법을 유인한다. 주체와 세계가 지닌 악을 선으로 바꾸는 은유가 된다. 촛불의 은유는 단지 비유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나와 세계를 함께 바꾸는 수행에 동참하려는 의지의 간절한 표현이다.” (구모룡·부산일보)

촛불은 ‘나와 세계를 함께 바꾸는 수행’ 의지의 표현입니다. 자기를 태워 세상을 밝히겠다는 것입니다. 개개인이 하나씩 촛불을 들고 광장에 모인다는 것의 의미가 그런 것인데 누가 함부로 그것을 끌 수 있겠습니까? 하나이면서 여럿인 광장의 촛불은 그 자체로 거대한 혁신의 에너지가 됩니다. 모든 것을 녹여내는 힘이 있습니다. “분노는 하나인 듯 여럿이다. 분노의 감정을 프리즘에 투영하면 환멸, 절망, 회의, 허탈, 슬픔이 배어 나온다. 분노가 촛불이 되면 다시 기도되고 희생이 되고 어둠을 몰아내는 빛이 된다. 촛불을 옮겨 붙일 때 그것은 연대가 되고 소망이 되고 사랑이 된다. 마침내 분노는 새로운 희망을 잉태한다.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 깊어 정의로운 새날을 여는 불씨가 된다.”(김소일·카톨릭평화신문)

단어 중에는 그 자체로 습기(濕氣) 찬 것들이 있습니다. 짜면 언제나 물이 나옵니다. 그 단어를 두고 이야기하다 보면 꼭 언젠가는 눈물이 흐릅니다. 누구에게는 어머니, 누구에게는 아버지, 누구에게는 고향, 누구에게는 첫사랑, 누구에게는 조국, 누구에게는 종교, 그런 것들이 습기 찬 단어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 촛불도 그중의 하나가 됩니다. 바슐라르도 그 비슷한 이야기를 했습니다만 저는 촛불을 ‘물의 불’로 여깁니다. ‘자신도 더러워지면서 남의 더러운 것을 씻어내는’ 희생적 정화의 속성을 보여주고, 작은 것들이 모이고 또 모여서 거대한 바다를 이루는 연대의 힘을 나타내고, 장애물을 만나면 격하게 저항하며 극복해내는 민중의 힘을 표상합니다. 물의 불, 촛불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