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논란을 빚어온 국정교과서 내용이 28일 공개됐다. 국정 역사교과서는 박근혜 정부가 추진해온 중점 국정과제의 하나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중학교 역사 1·2, 고교 한국사 등 3종의 국정교과서 ‘현장 검토본’을 공개하고 “학생들이 특정 이념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있는 역사관과 올바른 국가관을 가질 수 있도록 심혈을 기해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현장 검토본에 대한 여론 수렴이 끝나는 다음 달 23일까지 국정 역사교과서의 향후 현장 적용 방안을 결정해 발표하기로 했다.

일부 교사 단체와 시민사회단체들은 국정 역사교과서 추진을 반대한다. 중·고교 역사 교사들의 회의체인 ‘전국역사교사모임’은 29일 성명을 내고 “해석의 다양성과 비판적 사고를 배우는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하겠다는 생각 자체가 잘못”이라며 폐기를 요구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도 이날 국정교과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 문제는 가장 책임 있는 당사자인 교육감들도 의견일치를 보지 못할 만큼 난제다. 전국 17곳의 시도교육감 중 박종훈 경남도 교육감 등 14명이 국정 역사교과서에 대해 반대를, 이영우 경북교육감 등 2명이 찬성을, 우동기 대구시 교육감은 유보 입장을 나타냈다. 대부분 반대 입장을 보인 가운데, 이영우 경북도 교육감은 “객관적인 사실을 최대한 반영해 집필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찬성하는 소신을 보였다.

이날 공개된 국정교과서는 대한민국 건국 과정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북한을 부정적으로 기술한 부분이 대폭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독도 문제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허구성과 일본의 역사 왜곡 실태·문제점 등을 지적하고 독도가 우리의 고유 영토로서 분쟁 대상 지역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는 것을 편찬 방향으로 들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국정체제의 교과서 추진은 역사 해석이 특정 정권의 전유물로 전락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반대로 기존 검정교과서의 사실 왜곡과 좌 편향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의견이 엇갈릴 수 있는 역사 문제를 정권이 갈릴 때마다 역사 기술이 바뀌는 것만은 피해야 한다. 역사교과서 문제는 다양한 시각이 담기도록 교육현장의 선택 폭을 넓히는 방향이 옳다고 본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