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규_대구교대교수2014.jpg
▲ 양선규 대구교대 교수
국정(國政)의 일대 전환기를 맞이해서 공자님이 ‘논어’에서 강조한 ‘때의 중요성’과 ‘법의 필요성’이 생각납니다. 그 대목을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삼베로 짠 관(冕旒冠)을 쓰는 것이 예법에 맞지만, 지금 사람들은 생사(生絲)로 만드니 검소하다. 나는 여러 사람들(時俗)을 따르겠다. (신하가) 당(堂) 아래서 절하는 것이 예법에 맞는데 이제 와서는 당 위에서 절을 하니 이는 교만한지라 비록 대중과 어긋나더라도 나는 당 아래서 절하겠다.” 하였다. 공자는 네 가지의 마음이 전혀 없었으니 사사로운 뜻이 없고 기필하는 마음이 없고 집착하는 마음이 없고 이기심이 없으셨다.(子曰 麻冕 禮也 今也純儉 吾從衆. 拜下禮也 今拜乎上 泰也 雖爲衆 吾從下. 子絶四 毋意 毋必 無固 毋我)’ ‘『논어』 「자한」편’

공자님은 법과 때가 충돌할 때 오직 윤리를 기준으로 선택하라고 가르칩니다. 검소한 것은 따르고 교만한 것은 배척하라고 강조합니다. 오래전 말씀이지만 지금 생각해 봐도 구구절절이 옳습니다. 말씀대로 그렇게 처신하다 보면 법과 때가 서로 상보적이라는 것도 절로 터득될 것 같습니다. 평생을 도덕군자로 사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겠습니다. 다만, 사익(私益)을 추구하지 않고 장담하지 않고 고집하지 않고 이기심 없이 사는 게 쉽지 않다는 게 함정입니다. 인간으로 태어나 그 네 가지를 다 끊어내는 것(絶四)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짧지 않은 기간 동안 살아오면서 경험적으로 터득한 게 하나 있습니다. 절사(絶四)를 유난히 강조하는 사람일수록 그것과는 오히려 거리가 멀더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윤리적인 사람들은 말없이 그것을 실천할 뿐입니다. 스스로 내부점검에 철저할 뿐, 남들 앞에서 우정 자신의 공치사를 늘어놓을 시간이 없습니다.

2천5백 년 전의 공자님 말씀이 지금 들어도 생생한 가르침을 주는 까닭이 무엇일까요? 아마 지금 우리가 처한 상황이 매우 특별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근대사의 한 획을 그을 정도의 큰 변화가 이미 목전에 당도해 있습니다. 때가 때인 만큼, 때와 법 중에서 무엇을 중히 여길 것인가를 두고 가타부타, 아전인수, 설왕설래가 난무하고 있습니다. 국민 대다수의 여망과 권력자들의 정파적 이해관계가 서로 충돌하는 장면도 얼핏얼핏 보입니다. 공자님의 가르침을 따르면 그럴 경우 우리가 기준 삼을 것은 오직 윤리 하나뿐입니다. 정치와 관련된 것일 때는 그것이 애민(愛民)인가 아닌가만 보면 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그것이 사심(私心), 즉 소수의 특권층만을 위한 것일 때는 과감히 버려야 합니다. 정파적 이해에 치중해 자기를 고집하면 안 됩니다. 시절(時節) 요구를 무시하고 공연히 법을 앞세우고 때의 요구를 회피하면 필연적으로 민심의 이반을 부릅니다.

사족 한마디 첨가하겠습니다. ‘절사(絶四)’와는 거리가 먼 사견(私見)이니 듣고 이내 잊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요즘 핫뉴스의 주역으로 등장하는 이들을 띠별로 묶어봤습니다. 쥐띠(48년생), 용띠(52년생), 원숭이띠(56년생), 개띠(58년생) 쪽이 많습니다. 이문열이 쥐띠고, 박근혜, 문재인(빠른 53), 박영수(특검)가 용띠, 최순실, 윤창중이 원숭이띠, 유승민, 추미애가 개띠입니다. 저도 그 일원입니다만, 가족 관계에서부터 주된 사회적 관계에 이르기까지 평생 특히 이 세대들과 밀접하게 지냈습니다. 그 경험칙에서 나온 반성입니다. 반성이니 칭찬은 생략하겠습니다. 쥐의 몰윤리, 용의 허세, 원숭이의 탐욕, 개의 허영만 잘 다잡으면 우리나라가 정말 좋은 나라가 될 것 같습니다. 그렇게 믿습니다. 자중자애(自重自愛)!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